미국이 관세를 빌미로 한국에 3500억 달러를 현금으로 투자하라고 압박하면서 한미 간 관세 협상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이 금액을 한 번에 지급하라는 요구에서 한 발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
13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조현 외교부 장관은 미국이 3500억 달러를 현금으로 한 번에 투자하라는 입장에서는 후퇴한 것이냐는 더불어민주당 윤후덕 의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앞서 조 장관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관세 협상과 관련한 무소속 이춘석 의원의 질문에 "미측에서 지금 새로운 대안을 들고 나왔다. 내용을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미국이 당초 3500억 달러를 이야기할 때 직접투자뿐 아니라 대출, 대출보증까지 포함됐는데, 이후 갑자기 전액 직접투자로 바뀌었다"며 한국은 이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이날 공지를 통해 "우리 측에서 금융패키지 관련 9월에 수정안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에 대해 일정 부분 미측의 반응이 있었다"며 "다만 협상 중이기 때문에 현 단계에서 구체적인 말씀을 드리지 못함을 양해바란다"는 입장을 내놨다.
조 장관은 이에 대해 "우리가 3500억 달러를 지급할 경우 우리 외환 시장이 출렁거리고 감당할 수 없다"고 했다면서 "우리가 어떤 안을 낸 데 대해서 (미국이) 의견을 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3500억 달러를 우리가 어떻게 운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 (미국에) 설명하니 그 중 어떤 부분에 대해서 '이렇게 하면 어떨까' 하는 안을 우리에게 설명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현금과 보증, 대출의 금액 규모를 조율하고 있는 것이냐는 윤 의원의 질문에 조 장관은 "그런 구체적 대안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이달 말에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에이펙, APEC) 정상회의 전까지 마무리될 수 있는 것이냐는 윤 의원의 질문에 조 장관은 "그렇게 되길 바라지만 예단하긴 어렵다"라고 말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에이펙 본 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31일과 11월 1일 행사에는 참석 못한다는 것이냐는 윤 의원의 질문에 조 장관은 "그렇다고 한다"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 방한 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냐는 질문에 조 장관은 "그럴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떻게 할 것인지는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