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부터 수도권을 시작으로 종량제봉투에 배출된 생활쓰레기를 직매립하는 것이 금지된다. 수도권 3개 시도는 2026년부터, 수도권 이외 지역은 2030년부터 직매립이 금지된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종량제 쓰레기는 선별해서 재활용하거나 소각 후 매립해야 한다. 재활용이 되지 않는 생활폐기물은 소각과정을 거쳐 남는 재만 묻을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지자체마다 공공소각장이 부족하고, 신·증설은 주민 반발로 엄두를 내지 못하기 때문에 고민에 빠져 있는 게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은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도 마찬가지다.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2001년부터 운영해 온 자원회수시설이 관내 생활폐기물을 전량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의정부시는 시설 노후화와 함께 인구 증가, 생활환경 변화로 폐기물 발생이 급증해 용량 한계에 도달했으며, 이로 인해 일부 폐기물을 외부에 위탁 처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처리 비용이 증가하고 환경적 위험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현재의 상황도 심각하지만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전면 금지되는 내년부터는 더욱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안정적인 처리 기반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도시 환경은 물론 주민 생활 환경에도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무엇보다 생활폐기물 발생 자체를 줄이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찾아가는 재활용 체험교실, 에코투어, 올바른 분리배출 홍보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는 동시에, 시민들에게 ▲일회용품 사용 자제 ▲분리배출 철저 ▲재사용 생활화를 실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현대화사업을 통해 노후시설을 친환경적으로 개선하고, 폐열을 활용한 에너지 회수 기능을 도입해 안정적인 처리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미래세대까지 고려한 지속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김동근 의정부시장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는 우리 모두가 마주한 변화로, 시민 한 분 한 분의 작은 실천이 깨끗한 의정부를 만드는 힘이 될 것”이라며 “자원회수시설 개선과 맞물려 지속 가능한 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시는 앞으로도 교육과 캠페인을 확대해 시민 참여를 독려하고, 폐기물 감축 문화가 생활 속에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