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연구원(원장 전희경)은 도내 침적해양폐기물 분포지도를 기반으로 올해 국가사업에 총 13개소가 반영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광역지자체 평균(7개소)의 두 배에 가까운 성과다. 충남도가 선도적으로 추진한 해안가 쓰레기 분포 지도사업도 우수 사례로 평가돼 2026년부터 전국 단위로 확대 실시될 예정이다.
충남연구원 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윤종주 연구위원은 “도내 섬·연안·바닷속에 대한 종합조사로 해양폐기물 지도가 완성됐다”며 “침적쓰레기는 눈에 보이지 않아 전문 장비와 인력이 필요해 분포조사가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 태안군은 해구당 50톤이 넘는 침적폐기물이 쌓인 것으로 추정됐으며, 아산·당진·서산시는 경기도와의 공동수거 협력이 필요하다고 지적됐다. 보령시는 원산도·삽시도·외연도 인근이 주요 침적지역으로 꼽혔고, 서천군은 금강하구 유입 쓰레기 문제가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
윤 연구위원은 “충남 서해안 발전은 해양자원 보호와 환경 개선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침적폐기물·어장 환경 개선 사업 △전용 수거 선박 건조 △폐어구 자율 수거 활동 △재활용 방안 마련 등을 제안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