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국제공항의 기본계획 취소판결로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행정안전부 차관 출신의 전직 고위공직자가 공항의 철새 충돌방지 대책을 제시하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소신 발언'에 나서 관심을 끌었다.
심보균 전 행안부 차관은 18일 오전 전북자치도 익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서울행정법원의 새만금 국제공항 기본계획 취소판결로 익산시민들이 큰 실망을 하고 있다"며 "이 판결은 단순한 법적 결정이 아니라 지역경제와 미래 발전에 대한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으로 냉철한 정책적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서식지 관리와 조류퇴치 장비, 레이더와 관제시스템, 철새 이동경로 연구와 협력, 긴급상황 대처 매뉴얼 등을 통해 공항 철새의 충돌방지를 예방할 수 있다"며 "이런 충돌방지 대책을 통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심보균 전 차관은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공항 등 국내 주요 공항에서도 이미 이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며 "비행 안전을 지키기 위해 계절별 철새 경로를 조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심보균 전 차관에 따르면 인천공항의 경우 조류통제 전담요원 운영과 각종 장비 활용은 물론 야상생물관리협회와의 협력, 조류탐지 레이더 도입 추진, 예방인력 및 상시 근무제 강화 등에 적극 나서고 있다.
또 김포공항도 예방 전담인력을 강화하고 열화상카메라를 보유해 철새와의 충돌을 막고 공항 유휴지 관리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주장이다.
심 전 차관은 "중앙정부와 전북도가 협력을 통해 경제성 보완자료를 마련하고 광역교통망과 물류체계, 산업클러스터와의 연계성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시민사회와 전문가, 기업이 함께하는 협의체를 통해 합리적인 대안을 도출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새만금 국제공항은 전북의 하늘길이자 미래 성장동력으로 감정보다 정책, 구호보다 대안을 통해 반드시 지켜내겠다"며 "우리는 이 공항이 전북자치도의 미래를 밝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