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사법개혁 추진에 반발해 첫 장외투쟁 장소로 대구를 선택했다. 정치 탄압 대응과 보수 결집의 교차점에서 대구의 상징성이 부각됐다.
반면 일각에서는 TK 정치권의 외부 고립 현실도 재조명되고 있다.

국민의힘이 오는 21일 대구 동대구역 광장에서 ‘야당탄압·독재정치 국민 규탄대회’를 연다고 밝혔다. 여권의 사법개혁 추진에 맞선 첫 장외투쟁으로, 대구는 그 출발점이자 상징적 전선이 됐다.
서울 여의도나 광화문 등 수도권 지역이 아닌 대구를 택한 것은 단순한 상징 차원을 넘어선 전략적 선택이다. 국민의힘은 대구가 당의 정치적 근거지이자, 보수 결집의 최전선이라는 점에 주목한 것으로 해석된다.
당내에서는 대구를 통해 조직적 저항의 동력을 확보하고, 대여(對與) 여론전을 전국으로 확산하겠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하지만 이번 선택이 TK(대구·경북) 정치권의 외부 고립 심화를 반영하는 결과라는 우려도 존재한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지역 인사 중용 비중이 낮아졌고, 주요 국가 사업에서도 대구·경북은 상대적 소외를 겪고 있다는 평가다.
TK신공항, 낙동강 취수원 이전, 국비 확보 등 굵직한 지역 현안들이 정치적 뒷받침 없이 장기 표류하고 있는 배경에도 이러한 구조적 고립이 작용하고 있다는 해석도 분분하다.
이런 가운데 대구에서 장외투쟁을 시작한 것은 “중앙의 정치 일정과 따로 노는 TK”라는 부정적 인식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당 안팎에서는 수도권 외연 확장보다 지역 기반 결집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시대 흐름과 엇갈릴 수 있다는 목소리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국민의힘은 규탄대회를 중심으로 대구·경북 당원 교육에도 착수했다. ‘야당 말살 저지’ 주제의 교육은 시도당별로 이뤄지고 있으며, 장외 투쟁의 조직력을 뒷받침하는 기반으로 활용된다.
종교계와의 연대도 강화하고 있다. 장동혁 대표는 보수 기독교계와 접촉면을 넓히며 종교 탄압 프레임 부각에 나섰다. 최근 세계로교회와 한국교회총연합 지도자 예방도 같은 맥락이다.
한편, 당내 일각에서는 대구 집회를 시작으로 전국적 확산이 가능할 지에 대한 회의론도 제기된다. 수도권과 중도층에서 거리감을 느낄 수 있다는 우려다.
정치권 관계자는 “광장 정치로는 외연 확장이 어렵다”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