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오는 23일 미국 뉴욕에서 개최되는 제80차 유엔총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진행할 예정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은 23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대한민국이 경험한 민주주의 위기 극복과 회복 과정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한반도 문제를 비롯한 주요 글로벌 현안에 대해 우리 정부 비전과 정책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는 매년 9월 셋째 주 화요일부터 약 일주일간 열리며 193개 회원국 정상급 인사들이 대거 참석하는 세계 최대의 다자외교 무대"라며 "특히 올해는 유엔 창설 8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로 국제사회 이목이 어느 때보다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이번 회기 참석을 통해 국제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하고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대한민국 위상을 높이는 다양한 외교 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유엔 안보리 의장 자격으로 공개 토의를 직접 주재한다. 안보리 의장국은 15개 이사국이 나라 이름의 알파벳 순서대로 한 달씩 돌아가며 맡게되는데 이번 9월달은 한국이 의장국을 맡는 달이다.
강 대변인은 "우리나라는 9월 한 달간 안보리 의장국을 맡게 되며 24일에는 인공지능과 국제 평화 안보를 주제로 공개 토의를 개최한다"며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처음으로 유엔 안보리 의장 자격으로 안보리 공개 토의를 직접 주재한다"고 했다.
이어 "본 회의에서는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국제 평화와 안보에 미칠 영향과 기회를 논의하고 국제사회 공동 대응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라며 "이 대통령의 유엔총회 참석은 신뢰받는 파트너로서 대한민국 자리를 확인하고 글로벌 다자외교 무대에서 대한민국 리더십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강 대변인은 미국과의 통상·안보 협상과 관련, 정부가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3.5% 수준으로 증액하기로 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아직 진행 중인 상황이라서 구체적인 언급을 하기 어렵다"며 "국익에 우선되는 방향으로 협상은 여전히 진행 중인 단계"라고 즉답을 피했다. 그는 "트럼프 2기 이후 관세를 비롯한 모든 협상은 기존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현재진행형의 협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날 국회 국방위에서는 이두희 국방부 차관이 같은 사안에 대해 "협의가 최종 종결된 사안이 아니기에 구체적으로 말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
"현 단계에서 수치나 시점을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면서도 "국방비를 3.5% 정도까지는 증액해야 한다는 논의는 그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하기도 했다. .
한편 검찰개혁 방안을 두고 당과 정부, 대통령실 사이 입장 조율 과정을 묻는 질문에 강 대변인은 "검찰개혁 문제는 당과 정이 어느 정도 합의선을 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이견이나 의견 차이가 있더라도 당정 협의를 거쳐 수렴해 갈 것으로, 최종적으로 수렴점을 찾아갈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어 "대통령실이 건건이 당정협의 사안에 언급하는 건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검찰개혁, 사법개혁 관련된 부분에 전혀 무관심하다고 말하긴 어렵겠지만 대통령의 주요 관심사는 모든 국민들이 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 민생경제 부문"이라며 "지난 토요일 강릉 가뭄 현장을 휴일임에도 불구하고 찾아갔던 현상도 먹고 사는 문제에서 물 부족이라는 게 당장 생사 여부와 밀접한 문제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대통령이 검찰개혁과 관련해 토론을 지시한 부분에 대해서도 "충분한 의견을 거쳐서 토론하라는 건 국민들이 '검찰개혁'이라는 네 글자만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구체적 대안에 대해 어렵지 않게, 어떤 부분이 대안이 되고 어떤 부분이 장점과 단점이 되는지 맹점이 없도록 철저히 대비하고 알리라는 대통령 조언이었다"며 "(토론을) 직접 주재할 수 있단 말이었지 주재하겠단 말은 아니었다"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