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는 단순히 한 기업의 위기나 구조조정 문제가 아닙니다."
마트산업노조 경남본부는 19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피력했다.
마트노조는 "2015년 MBK파트너스의 무분별한 인수 이후 홈플러스는 단 한 번도 장기적인 투자를 통한 성장의 길을 걷지 못했다"며 "대신 부동산 매각·인력 축소·구조조정으로만 연명해왔다"고 밝혔다.
마트노조는 "MBK파트너스는 M&A를 통해 홈플러스를 살릴 수 있을 것처럼 포장했지만 실상은 청산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면서 "인수대상자를 8월 말까지 찾겠다고 약속했으나 시한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15곳 점포 폐점이라는 극단적인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점포 하나가 문을 닫으면 945명의 직접·간접고용 노동자와 7898명의 인근지역 상권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는다"고 하는 마트노조는 "연간 약 2700억 원의 경제 손실이 발생하며 해당 지역의 주택가격이 최대 34% 하락할 수 있다는 경고도 있다"고 밝혔다.
마트노조는 "MBK파트너스의 이러한 피해는 특정 집단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주민과 소비자 모두에게 돌아올 재앙이다"며 "정부와 국회는 아직까지 어떠한 실질적인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마트노조는 "지난 3월 정무위원회에서 통과된 MBK파트너스 청문회는 다섯 달이 넘도록 열리지 않고 있다"면서 "정부는 사회적 대화의 장을 마련하라는 요구를 외면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트노조 경남은 "정부는 더 이상 침묵으로 일관하지 말고 즉각 사회적 대화기구를 가동해야 한다"고 하면서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을 비롯한 책임자들에 대한 구속수사를 통해 사태의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점포 폐점을 중단하고 노동자·입점업주·소비자가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