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 발표 직후 ‘속도전’에 돌입했다. 13일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정부가 5대 국정목표와 123개 세부과제를 확정하자, 경북도는 후속 대응 전략을 곧바로 가동했다. 핵심은 지역 공약 실현과 선도 프로젝트 추진 등 이다.
AI·스마트 제조로 산업 판 바꾸기
경북도가 눈여겨본 국정목표는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다. 기존 주력 제조업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해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AI 기반 제조 설계 플랫폼 구축, 자율 제조 프로젝트, 스마트공장 확산 지원 등이 포함된다. 경북을 ‘AI 융합 산업 거점’으로 키우겠다는 포석이다.
대구·경북 공동 대응…북극항로·철도망 확충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분야에서는 대구시와 함께 움직인다. 이날 출범한 대구·경북 공동협력 TF가 중심이 된다. 정부의 ‘5극 3특’ 균형성장 전략에 대응하고, 북극항로 시대를 겨냥한 영일만항 복합항만 개발, 대구·경북 대순환철도 등 교통 인프라 확대도 추진한다.
재난·저출생·농업…‘경북 브랜드 정책’ 확장
경북형 재난안전 체계 ‘K-마 어서대피’는 12시간 예측 시스템과 풍수해 행동 매뉴얼로 고도화된다. 저출생 극복을 위한 융합 돌봄 특구, 농업대전환을 위한 주주형 공동영농 전국 확산 등 기존 경북 정책 브랜드도 전국 단위로 확대된다.
SOC·미래산업 쌍끌이
경북 공약의 양대 축은 초광역 SOC와 미래전략산업이다. 신공항, 영일만항, 동서횡단철도, 남북 9축 고속도로, 의과대학 설립 등 대형 인프라 사업은 중앙정부와 국회를 상대로 추진 동력을 확보한다. 동시에 바이오, 2차전지, 미래차, 수소·녹색철강 산업을 집중 육성해 신성장 동력으로 삼는다.
“국정과제와 경북 비전, 궤적 겹친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정부 국정운영 방향과 경북의 정책 기조가 상당 부분 일치한다”며 “오히려 할 일이 더 많아졌다”고 말했다.
APEC 성공 개최, 산불 피해 특별법 제정, 신공항·영일만항 개발 등 굵직한 현안은 대통령과 경제부총리에게 직접 건의 중이다.
경북도는 앞으로도 정부 국정과제와 지역 사업의 연계성을 높이는 보고회를 이어가며, 민간·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정책 개발과 제도 개선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