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수소 모빌리티 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첫 단추를 끼웠다.
수소 상용차 중심의 산업 생태계가 이미 조성된 완주에 ‘수소특화단지’ 지정을 추진하며, 민관산학이 한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전북도는 5일 도청 종합상황실에서 완주군,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한국수소연합, 전북대학교 등 16개 산·학·연·관 기관과 함께 ‘완주 수소특화단지 지정·육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수소특화단지 공모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전북형 수소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관영 전북도지사, 유희태 완주군수, 김재홍 한국수소연합 회장, 이존화 전북대 연구부총장, 장현구 현대차 전주공장장 등 핵심 기관과 기업의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전북도와 완주군은 행정적·재정적 지원과 정책 수립을, 전북테크노파크·전북대·우석대 등은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을 맡는다. 현대차 전주공장을 포함한 기업군은 단지 조성과 산업 연계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된다.
김관영 지사는 “이번 협약은 전북이 수소모빌리티 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완주 수소특화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유희태 완주군수도 “완주는 이미 수소상용차, 저장용기, 연료전지 소재 등 수소산업 전 주기를 아우르는 기반을 갖춘 곳”이라며 “학계와 기업, 연구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완주가 대한민국 수소경제를 선도하는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완주군 봉동읍 일대를 중심으로 수소특화단지를 구축하고, 전북이 보유한 수소 산업 인프라와 기업 집적도를 바탕으로 정부 공모에 대응하기 위한 사전 준비 성격이 짙다.
전북도는 완주 수소특화단지를 중심으로 △건설기계(군산) △농기계(익산) △특장차(김제) △탄소소재(전주) 등 도내 주력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초격차 수소모빌리티 허브를 완성한다는 계획도 함께 제시했다.
현재 완주는 완주일반산단, 테크노밸리산단을 포함해 현대차 전주공장(수소 상용차 생산), 일진하이솔루스(수소 저장용기), 비나텍(연료전지 소재) 등 수소 관련 핵심 기업이 집적돼 있는 지역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수소산업 클러스터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부는 이달 14일까지 수소특화단지 지정 신청을 받고 있으며, 9월 서류 및 대면 평가를 거쳐 연말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최종 대상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평가는 산업 집적도, 기반시설, 지역사업과의 연계성, 산·학·연 협력도 등이 주요 기준이다.
전북도는 이번 공모를 통해 수소특화단지로 최종 선정될 경우, 정부의 예산 지원과 함께 기술개발, 인력양성, 인증인프라 등 전주기 지원 체계를 기반으로 수소경제의 국가 전략기지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