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청송군은 지난 30일 군청 제1회의실에서 ‘2025년 청송군 산불 피해지 산림 복구 기본 계획’ 착수 보고 회를 열어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림 복구 방향을 논의했다.
이는 지난 3월 초대형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산림 2만 655ha 중, 국립 공원 구역 등을 제외한 1만 7030ha 를 대상으로 오는 2026년 4월까지 복구 기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다.
이날 보고 회에서는 ▲산불 피해 현황 ▲복구 지침 등을 공유하고 생태계 복원과 산림 소득 창출, 재해 예방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와 함께 현장 조사를 통해 지역별 피해 강도와 특성을 정밀 분석한 후, 지역 주민과 산 주(山主)의 의견을 반영한 주민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지자체·학계·전문가·지역 임업 단체·주민 등으로 구성된 지역 협의회를 통해 과업 전반에 걸친 전문성과 계획의 완성도를 높이고 자연 복원과 인공 복구를 병행,적용할 계획으로, 생태 적 안정성과 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맞춤형 복구 모델 ’로 추진할 계획이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이번 산림 복구 기본 계획은 단순한 피해 복구를 넘어 산림의 본래 기능을 회복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이라며 “모든 과정을 면밀하게 준비해 지역의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