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는 23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7+2 민생회복 지원 정책보고회'를 열고, 고물가·소비위축의 이중고를 겪고 있는 지역 소상공인을 위해 골목상권 중심의 소비촉진 전략을 대대적으로 공개했다.
보고회는 당초 지난 18일 개최 예정이었지만, 기록적인 집중호우 여파로 연기된 바 있다.
이날 행사에는 강기정 광주시장을 비롯해 김이강 서구청장, 지역 시의원, 유관기관 관계자, 그리고 소상공인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정책의 핵심은 ▲광주상생카드 13% 할인 ▲모든 시민 대상 소비쿠폰 지급 ▲온누리상품권 5% 환급 등 총 9개 항목에 이르는 6224억 원 규모의 '7+2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다.
강 시장은 "지금 골목경제는 벼랑 끝이다. 정부 예산 없이도 광주시는 버텼지만, 이젠 이재명 정부와 함께 더 강하게 나아갈 것"이라며 "소비쿠폰, 상생카드, 공공배달앱 등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부터 속도감 있게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광주광역시는 9월부터 연말까지 지역화폐인 '광주상생카드' 할인율을 기존 7%에서 13%로 대폭 인상한다. 이는 타 지자체 평균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로, 시 재정으로만 추진된다. 더불어 온누리상품권 사용액의 5%를 환급하는 정책도 병행된다. 환급 한도는 월 10만 원이다.
소비쿠폰은 정부와 자치구가 공동 재원을 마련해 시민 1인당 18만~53만 원 수준으로 지급한다. 5개 자치구와 함께 총 400억 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공공배달앱 할인쿠폰(5억4000만 원 규모), 골목상권 지원단 설치, 공공기관-상권 1:1 매칭 소비 활동, 1700억 원 규모 특례보증 등도 병행된다.
광주광역시는 '상권에 사람이 모여야 지역이 산다'는 구상 아래, 중장기 성장동력 마련에도 주력한다. 더현대 광주 착공(10월), 신세계 광천터미널 복합화 사업, 군공항 이전 TF 가동, AI컴퓨팅센터 유치,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연말 전면 개방 등 인프라 확장을 병행한다.
강 시장은 "소비는 결국 사람이 만든다. 도시는 사람을 모으고, 돈을 쓸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드는 게 지방정부의 역할"이라며 "광주의 길에 함께 의기투합해달라"고 시민과 소상공인들에게 호소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광주광역시와 자치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기청 등 12개 기관이 '골목형 상점가 광주 전역 확대 MOU'를 체결했다. 협약에는 ▲골목형 상점가 지정 확대, ▲온누리상품권 가맹 확대, ▲소비쿠폰 조기집행 등의 내용이 담겼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