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제가 성남시장 때부터 수없이 한 얘기인데, 돈이 마귀"라며 청렴을 강조하는 등 행정고시에 합격해 5급 사무관으로 임용된 신임 공무원들에게 특강을 진행했다. 예비 사무관을 대상으로 한 대통령 특강은 2005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20년 만에 처음이다.
이 대통령은 14일 충북 진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열린 '5급 신임 관리자 과정 교육생'을 대상으로 한 특강에서 "이건 기본에 관한 건데, 공직자는 청렴해야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나는 부패한 사람으로 온갖 음해를 당해서 이렇게 공격 당해서 이미지가 '저 사람 뭐야'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지만, 저는 정말로 치열하게 제 나름의 삶을 관리해 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러분, 돈이 마귀다"라며 거듭 청렴을 강조했다. 그는 "이 마귀는 절대로 마귀의 얼굴을 하고 나타나지 않다"며 "친구, 친척, 선배, 동료, 어쩌면 사랑하는 내 애인 등 어쨌든 아주 아름다운 관계의 모습을 하고 나타난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에 누가 마귀 짓을 하겠나, 천사 짓을 한다. 어려운데, 문자, 메일 보내요. '고생 많으시죠' 그다음에 전화 와요. '애쓰십니다'"며 "'차라도 한 잔', '밥이라도 한 끼', 그러다 '술이라도 한 잔', '골프라도 한 번', 상품권 이거 뭐 우연히 생겼는데 10만 원짜리 한 장, 그러다가 룸살롱을 간다"고 했다.
이어 "내성이 생겨 가지고 나중에 별 느낌이 없다가 어느 날 보니 이 사람이 그걸(접대 내용을) 장부에 다 써놨다는 것을 알게 된다"며 "언제 그게 드러나냐, 그 사람이 잡혔을 때다. 수사기관이 관가 근처에 업자를 잡으면 첫 번째 하는 일이 장부 찾으러 다니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수부 검사들이 조사하는 기법이 이처럼 관가에서 놀고 있는 업자들을 조사하는 것"이라며 "돈이 그렇게 무서운 것이니 마귀라고 생각하고 조심하면 여러분의 인생이 편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본인이 성남시장 시절 시장실에 CCTV를 설치했던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제가 언론들 보라고 한 게 아니고, 제가 업자들 경고용으로 '너네는 나한테 거짓말할 생각 꿈에도 꾸지 마라, 내가 다 찍어놓는다'고 온동네 언론에 소문을 냈더니 그게 <연합뉴스> 등등에 보도가 난 다음부터 면담 신청이 확 줄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결국은 제가 돈 받았다는 소리는 안 듣고 살았죠, 다행히. 엉뚱한 이상한 소리를 듣기는 했지만"이라고 덧붙이며 "어쨌든 세상은 그렇게 험한 세상이니까 잘 여러분이 지키시기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 이 대통령은 효율적으로 일을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저는 5년 임시직이니까 그사이 시간이 제한돼 있지 않나"라며 "그래서 제가 시간을 두 배 효율성 있게 쓰면 임기는 10년이 될 수도 있는 것 아닌가"라며 웃어보이기도 했다. 이어 "그래서 모든 일을 최대한 신속하게 처리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공직자로서의 책임감을 강조했다. 그는 "공직인 모두에게 관계된 일, 그 일을 하되 자기 일이 아니라 남의 일을 대신하는 거다. 여러분도 결국은 월급 받고 남의 일 하는 것"이라며 "이재명 대통령도 결국은 5년 동안 고용된 단기 임시직 계약직으로 5년 후에 또 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저 사람 때문에 우리가 좀 더 나은 삶을 살게 됐다'는 교훈도 있을 수 있겠고, '저 인간 때문에 우리 망했어'라고 할 수도 있다"라며 "결국 다 제 손에 달렸고 제 마음에 달려 있는 일 아닐까 생각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여러분은 수없이 많은 사람들의 관계된 일을 하기 때문에 여러분의 판단, 행동에 따라서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살게 될 수도 있고, 어쩌면 여러분의 손에 의해서 '아이를 안고 이 세상 떠나버려야지' 할 수도 있는 것"이라며 "여러분의 손에 2025년부터 새롭게 시작하는 대한민국의 운명이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공직자에게 책임을 묻는 풍토를 개선하겠다고도 약속했다. 그는 "여러분들은 행정직 공무원이어서 재량이 너무 많다"며 "재량 범위 내에서 선의를 갖고 하는 일이면 실패할 수도 성공할 수도 있는데 어느 날부터 실패하면 '너 왜 그렇게 결정했어' 이렇게 책임을 묻는 이상한 풍토가 생겼다"고 했다.
이어 "이러다 보니 공직자들이 의무가 주어진 일 외에는 책임질 여지가 있는 일은 절대로 안 하기로 마음먹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무원들 때문이 아니라 정치 때문이다. 고쳐야 한다"라며 "공직자들이 선의를 갖고 하는 일에 대해 사후 책임을 묻는 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후 이 대통령은 신임 공무원들에게 질의응답을 주고받았다. '면접관이라면 어떤 신입 공무원을 뽑고 싶냐'는 질문에 "마음이 제일 중요하다"라며 "무슨 생각으로 열성을 다할 사람인가를 더 보게 된다"고 했다. 이후 이 대통령은 신임 공무원들과 오찬을 함께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