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는 11일 성명을 내고 교육부의 AI 디지털교과서 정책과 이에 협력한 광주시교육청의 책임을 물었다. 특히 이정선 광주교육감의 관련 발언과 사업 집행에 대해 "책임있는 입장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AI 디지털교과서는 교육 주체 누구도 환영하지 않았던 정책이었다"며 "교사는 교사답게 가르치지 못하고, 학생은 학생답게 배우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2024년 국정감사에서 이정선 교육감이 AI 디지털교과서 보급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힌 이후 스마튀기기 구입에만 1000억원에 가까운 예산이 낭비됐다"고 주장했다.

전날 국회 교육위원회를 통과한 'AI 디지털 교육자료 법안(AIDT 법안)'은 AI 디지털교과서의 법적 지위를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명확히 했다.
이에 대해 전교조는 "사실상 정책 실패를 인정한 셈"이라며 "이제는 책임을 물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교육부와 이주호 장관에 대해서도 날을 세웠다.
단체는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강행된 기술실험에 대한 반성과 대안 없이 여전히 AI 디지털교과서를 '교육혁신 도구'로 치켜세우고 있다"며 "현장 혼란은 가중됐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교사와 학생에게 전가됐다"고 주장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이번 법안 통과는 교육현장의 목소리를 일부 반영한 결과"라면서 "이제 이정선 교육감과 광주시교육청이 책임 있는 입장을 보여 달라"고 요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