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도내 한 '특정단체'가 최근 내부 통신망을 이용해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후원회원을 모집하고 후원금을 모금하려 한 것과 관련해 이용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전북교육청은 <프레시안>의 보도로 이같은 문제가 알려진 것과 관련해 9일, 이같이 조치하고 '업무용JBEdu메신저 서비스 이용'에 대한 규정과 준수 사항을 지킬 것을 안내했다.
도교육청의 조치에 따르면 "이용 목적에 맞지 않게 사용해 다른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6가지 행위를 금지"하도록 했는데, 이 단체가 JB메신저를 이용하는 도내 교장, 교감들에게 보낸 메세지 내용은 "불특정 다수에게 영리를 위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행위"에 해당한다.
전북교육청 미래연구원은 도내 교사와 교직원 등 대략 3만 여명이 이용하는 'JB메신저'라는 내부통신망을 관리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이 내부 통신망을 통해 특정 교육단체 명의로 전북 지역 교장과 교감 등 7백 여명에게 일방적으로 후원회원 확대와 후원금을 모금하려는 의도의 메세지가 전달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단체는 글 머리에 "양해를 구한다"면서 "교육의 공공성과 평등성 확대를 위해 또 교직원,학생,학부모 모두가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후원회원과 후원금 모금에 함께 해 달라"고 밝혔으나 일부 수신자들은 "내년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특정 교육단체가 자신들이 지지하는 특정 후보를 돕기 위한 사전 선거조직 확대 등의 포석이나 다름없다"며 불쾌해 했다.
특히, "교육청에서 관리하는 공용 통신망을 통해 전라북도내 불특정 교장,교감들에게 일방적으로 후원 회원 확대와 후원금 모금을 위한 메세지를 보낸 것도 문제이지만 교육청의 공용메신저를 이렇게 사적으로 이용하면 안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게 일었다.
'JB메신저'를 관리하고 있는 전북교육청 미래교육연구원 관계자는 "JB메신저 사용 목적이 '업무상 목적'으로만 돼 있다"면서 "교원단체를 제외하고 JB메신저를 사적인 용도로 사용할 경우 이용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이같은 메세지를 받은 사용자가 교육청에 신고해주면 확인 후 메세지 삭제와 함께 해당 메세지를 보낸 당사자에 대해서는 주의와 경고 처분을 할 수 있다"고 밝혔으나 이같은 내용의 메세지가 아직 'JB 메신저'에서 삭제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