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사회적경제기업들이 ESG 경영 중요성은 높이 인식하나 실제 실행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문 인력 양성, 재정 지원, 체계적 정책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우석대 ESG국가정책연구소와 전북경제통상진흥원 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지난 6월 4~18일 도내 사회적경제기업 54개사 대상 ESG 경영 인식 및 실태조사를 벌여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기업의 약 90%는 ESG 개념을 '어느 정도 안다'고 응답했다. 약 18.5%는 이미 ESG를 경영 전략에 반영 중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실제 ESG 활동은 '지역사회 기여'에만 집중됐다. 환경(E)과 지배구조(G) 부문 실천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ESG 경영 실천의 가장 큰 어려움은 '전문 인력 부족'(30%)이었다.
이어 '재정 부담'(25%), '정책 지원 미흡'(20%)이 뒤를 이었다. 이는 소규모 조직의 한계로 분석된다.
ESG 경영 강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은 '재정 지원'(26명)이었고 '판로 개척'(15명), '교육 및 컨설팅'(14명)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이 실질적 인센티브와 네트워크 부족을 느끼고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기업들은 "ESG는 선택 아닌 필수"라며 "실행 가능한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면서 단계별 ESG 교육, 인증 및 금융 혜택 연계, 우선 구매 제도, 협업 플랫폼 구성 등을 제안했다.
지용승 우석대 ESG국가정책연구소장은 "사회적경제기업이 지속가능한 경영 기반을 마련하도록 지역 실정에 맞는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며 "교육 정례화, 재정 인센티브, 공공조달 제도화, 민관 네트워크 구축 등 현장 중심 지원을 통해 실행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병래 전북사회적경제혁신타운 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은 "이번 조사를 계기로 ESG 경영 내재화를 위한 단계별 교육·컨설팅, 인증제 연계, 공공조달 기반 확대 등 맞춤형 프로그램 구축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실행 중심의 지원 체계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