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양산시는 안다방 마을 정상에 위치한 가야유적지인 양산 다방동 유적을 경남도 지정 기념물로 등록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고 7일 밝혔다.
양산 다방동 유적은 북쪽으로 경주·동쪽은 부산·남쪽으로는 양산천 하구와 김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등 지정학적 위치에 조성된 가야인의 취락유적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인 1921년 처음 발견된 양산 다방동 유적은 1967년 국립박물관의 소규모 학술조사를 통해 그 존재가 학계에 알려진 후 양산시는 지역 고대 정치체 시작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2021년부터 총 3차례 양산 다방동 유적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유적 외곽 경계를 따라 청동기시대 환호(방어도랑)의 설치에 더해 중앙에는 광장이 조성된 것이 확인됐다. 또 그 주변에는 20여 동 이상의 가야전기 주거지와 고상건물지 등이 배치됐다.
특히 주거지에 대한 평면조사 결과 최소 3차례 이상 토목 공법을 진행해 주거지를 확장 조성했음이 밝혀졌고 아궁이와 온돌시설이 발견돼 가야전기 양산 다방동 유적의 선주민은 취사와 난방을 동시에 해결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산 다방동 유적은 청동기시대부터 가야전기까지 끊어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양산의 가장 오래된 유적이란 점에서 국가유산적 가치가 매우 크다는 평가다.
양산시는 다방동 유적 도지정 유산 지정을 위해 이달 중 경남도 문화유산위원회에 유산 지정보고서를 제출하고 현지조사에 철저히 대비할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