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6.3 대선 패배 후 당 쇄신 작업을 주도할 혁신위원장으로 안철수 의원을 임명한 가운데, 친한(親한동훈)계 등 당내 비주류로부터 친윤 중진들에 대한 인적 청산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친한계 우재준 의원은 3일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안철수 혁신위원장 인선에 대해 "일정 부분은 기대를 가지고 있다. 그래도 탄핵을 찬성한 안 의원을 혁신위원장으로 앉혔다는 것 자체는 변화의 초석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다만 구체적으로는 어떤 혁신안이 나오는지에 따라서 정말 제대로 된 혁신위가 될 수 있는지 평가받을 것"이라고 했다.
우 의원은 이어 "솔직히 말해서 지금은 이제 인적 쇄신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야 한다"며 "구체적으로 안철수 위원장께서 꼭 혁신안으로 담아야 하실 것 중에 하나가 중진 선배들의 차기 총선 불출마 정도는 담아야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변화와 반성이라는 것을 우리가 설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역시 친한계인 박정훈 의원도 같은날 기독교방송(CBS) 인터뷰에서 "대통령 잘못 모신 분들 지금 누구 하나라도 차기 총선 불출마하겠다, 잘못했다(고 하는 것) 들어보셨느냐"며 "그분들이 당을 장악하고, 원내대표 경선 때도 결집하고, 본인들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서 몸부림을 친다"고 했다.
그는 "혁신에는 제일 중요한 게 인적 쇄신"이라며 "지금까지 당을 어렵게 만든 친윤 핵심들이 2선으로 물러나고 새로운 목소리로 국민들에게 어필을 해야 국민들이 '저 사람들 좀 바뀌었네' 이렇게 보는 것"이라고 했다.
박 의원은 "책임 있는 분들이 사과하고 2선으로 물러나고 당직 안 맡겠다고 하면 공간이 열리잖나"라며 "그런데 저 사람들이 지금 하겠다고 계속 하고 있다. 나경원 의원도 '나 전당대회 안 나갈 거야' 한 마디만 하면 나 의원의 노력이 정말 빛이 날 텐데 그 한 마디를 하질 않는다"고 했다.
박 의원은 안 혁신위원장 인선에 대해서도 "안 의원 입장에서는 우리 당에 온 뒤에 사실은 굉장히 어려웠고 외톨이였다"며 "이번 대선을 치르는 과정에서 선대위에 끝까지 남아 있고 김문수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이 비쳐지면서 우리 당 주류들한테 '안철수 좀 달라 보이네' 이런 반응을 얻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니까 본인은 외톨이였기 때문에 이런 당내 주류의 정서를 업고 혁신위를 추진하면서 본인의 입지를 한번 넓혀보겠다(는 것)"라며 "혁신위원장을 맡는 것 자체도 친윤과 안 의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부분이 있기 때문에 맡지 않았나"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후보 교체 과정이 문제가 있었다는 건 우리 국민들이 다 알고 계시고 (그에 대한) 당무감사를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이 추진했는데, 안 의원이 여기에 대해서 입장을 바꿨다. 예전에는 당무감사 당연히 해서 마땅한 징계 조처가 뒤따라야 한다는 취지의 얘기를 하셨는데, 어제 기자들이 당무감사 얘기를 물어보니까 '지금 시점에서 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취지로 말씀하셨다고 한다"며 "상상할 수도 없는 당내 비민주적 행태가 벌어진 것을 덮고 가겠다? 그런데 혁신하겠다? 그게 말이 되느냐"고 했다.
그는 "혁신은 갈등을 필연적으로 유발한다. 누군가의 잘못을 지적할 수밖에 없다"며 "(갈등을 피하면) 그럼 혁신이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이 내놨던 5대 혁신안에 이미 정답이 다 나와 있는데 문제를 다시 내라고 한다"며 "혁신은 국민 눈높이에서 하는 혁신이 혁신이지 친윤 눈높이에서 하는 혁신이 혁신이 아니다. 그러면 혁신은 친윤의 생명연장 도구밖에 안 되는 것"이라고 맹비판했다.
당 소장파인 김재섭 의원은 '안철수 혁신위'에 대해 "기대 반, 우려 반"이라며 "우려는 안 의원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이 당대표로서 5가지의 혁신안을 제시했는데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당 대표가 내놓은 혁신안을 거부했는데 비대위 산하의 조직의 장이 내놓은 혁신안은 받아들일까(하는 점)"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안 의원께서 말씀하신 대로 '고름을 도려내는 심정으로 메스를 들겠다'고 한다면 김 전 비대위원장이 이야기했던 것보다 훨씬 더 센 메시지가 나와야 하는데, 당 대표의 자리에서(발의해)도 받아들여지지 않은 그 말랑말랑한 혁신안보다 더 센 메시지를 냈는데 받아들일 가능성이 구조적으로 좀 어렵다"고 했다.
김 의원은 "혁신위도 냉정하게 얘기하면 옥상옥 구조"라며 "'김용태 혁신안'을 그냥 받아들이면 됐을 문제인데 혁신위를 굳이 띄워서 또 이렇게 작업을 하는 것"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