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봉화군에 있는 ‘청량산 수원캠핑장’이 19억 원을 들여 리모델링 후, 수원특례시가 10년간 직접 운영하는 형태로 추진된다.
수원시의 직접운영 방식은 봉화군과 수원시가 체결한 우호도시 협약의 첫 실질적 성과로, 양 도시 간의 도농상생 협력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봉화군은 수도권 대도시와의 실질적 교류를 통한 지역 활성화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수원시는 시민 여가공간 확충과 동시에 세외수입을 확보할 수 있는 사업으로 평가하고 있다.

봉화군 “수도권 도시와의 상생 모델로 육성할 것”
이번 사업은 청량산 집단시설지구 내 기존 캠핑장 부지를 리모델링하고, 수원시가 오는 10월부터 10년간 직접 운영하는 방식이며 수원시민은 봉화군민과 동일하게 이용요금의 50%를 할인받게 된다.
이에따라 수원시는 19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카라반, 글램핑 등 숙박시설을 확충하고 잔디마당, 조경 등 기반시설을 정비할 계획이다.
캠핑장 수익은 수원시 세외수입으로 편입되며, 운영인력은 봉화군민 10여 명이 채용될 예정이다.
청량산상가번영회 또한 “수원시민들의 방문이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수원시 “지방소멸 대응과 도시 수익을 결합한 상생 모델”
수원시는 이번 사업이 단순한 외지 투자가 아닌, 지방소멸 위기 지역과 도시의 상호 이익을 결합한 도농 상생형 수익모델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지난 2015년부터 봉화군과 축제 교류를 이어왔고, 2023년 우호도시 협약을 체결했다”며 “신뢰 기반의 협력을 바탕으로 캠핑장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캠핑장 운영을 통해 도시와 지방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협력 모델을 만들고 싶다”며 “다양한 지역 프로모션도 함께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용인시도 제천시와 유사한 캠핑장 검토
수원시의회 국민의힘 교섭단체는 “수요조사도 없이 타 지역에 시 예산을 쓰는 것은 졸속 행정”이라며 이번 청량산 캠핑장 사업에 강하게 반발했다. 지난 4월 예비비 편성이 무산된 사업이 명칭만 바뀌어 추경안으로 재상정됐고, 관련 조례가 1표 차이로 통과된 점에서 절차적 정당성 문제도 제기됐다. 일부 시민단체 역시 “상생이라는 명분은 이해되지만, 시민 대상 공감대 형성이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지방소멸과 도시과밀 해소를 동시에 겨냥한 도농 상생모델로서의 가능성은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용인시도 충북 제천시와의 유사한 캠핑장 교류 사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며, 향후 전국 지자체 간 협력사업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청량산 수원캠핑장, 도농상생 모델 주목
봉화군은 청량산 수원캠핑장을 기반으로 수도권 방문객 유입을 확대하고, 지역 상권과의 연계를 통해 실질적인 경제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도시 내 일부 반대 여론은 이해하지만, 봉화군 입장에서는 외부 자원을 유입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라며 “청량산 캠핑장이 도농 상생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군은 청량산, 청량사, 백두대간수목원, 협곡열차 등 지역 관광자원을 연계한 체험 프로그램과 수원시 공무원 문화탐방 등 교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청량산 수원캠핑장은 농촌의 인구감소 문제와 도시민의 여가 수요를 접목한 도농 협력 사업 모델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번 사례를 계기로 도시와 농촌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상생 구조가 지역사회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