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尹 정부 자랑한 사도광산 추도식, 올해도 또 말썽…외교부 "7~8월 개최 어려워"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尹 정부 자랑한 사도광산 추도식, 올해도 또 말썽…외교부 "7~8월 개최 어려워"

일본 정부 관계자 참석하는 사도광산 추도식 지난해 파행…올해는 가능할지 의문

조선인 강제 노역이 이뤄졌던 사도(佐渡)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관련, 윤석열 정부가 일본으로부터 받아낸 성과라고 밝혔던 노동자 추도식이 올해도 7~8월 개최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30일 외교부는 "사도광산 등재 협상 당시 일측이 추도식 일시를 7~8월로 구상하고 우리에게 전달해온 바 있다"며 "작년에는 7월 말 등재 후 시기적으로 불가피하게 늦어진 측면이 있고, 올해도 여러 협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7~8월 개최가 어려워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26일 당시 윤석열 정부는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등재와 관련한 한일 합의를 이뤘을 때, 7~8월에 진행되는 추도식에 일본 정부 관계자가 참석하는 것을 성과로 제시한 바 있다.

당시 정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사도광산 노동자들을 위한 추도식이 올해부터 매년 7~8월경 사도현지에서 개최된다. 올해 개최 일자와 장소는 현재 일본 내에서 조율 중 이며 우리와도 협의 중"이라며 "그동안 일본의 민간단체 차원의 추도식은 종종 있었으나, 이번에 일본이 약속한 추도식은 일본 정부 관계자도 참가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추도식 일자는 계속 미뤄지다가 결국 11월 24일로 결정됐다. 일본 측은 정부 측 참석자로 추도식 이틀 전인 11월 22일 이쿠이나 아키코(生稲晃子) 정무관을 참석시키기로 결정했는데, 이러면서 한일 간 합의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 만들어졌다. 이쿠이나 정무관이 야스쿠시 신사를 참배하는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해 일본 우익의 전형적 사고를 가지고 있는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요미우리 신문>은 전날인 21일 외무성 부대신과 정무관 이·취임식 자리에 참석한 이쿠이나 정무관에게 한일 관계가 강제동원 노동자 및 위안부 문제로 대립이 계속되고 있는데, 관계 개선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립되는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가 더 양보해야 한다"고 답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결국 윤석열 정부는 추도식 전날인 23일 "정부는 추도식 관련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24일 예정된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며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은 추도식을 둘러싼 양국 외교당국 간 이견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충분치 않아 추도식 이전에 양국이 수용 가능한 합의에 이르기 어렵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라고 밝힌 이후 현지에서 불참을 선언하고 별도로 추도식을 진행하기도 했다.

▲ 지난해 11월 25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에서 박철희 주일 한국대사가 추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일본은 추도식을 둘러싸고 강제동원된 노동자를 추모하려는 진정성을 보이지 않아 논란을 키워왔다. 추도식의 이름부터 단순히 '사도광산 추도식'이라고 하여 그 주체를 명확히 하지 않았고, 한국인 유족들의 참석 비용도 모두 한국 정부에 전가했다.

이 때문에 일본이 애초부터 추도식에 대해 사도광산 노동자들에 대한 추모나 반성 보다는, 유네스코 등재를 축하하기 위한 자리로 만들려 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실제 사도광산이 위치한 니카타현의 하나즈미 히데요 지사는 추도식을 나흘 앞둔 지난해 11월 20일 정례브리핑에서 추도식에 대해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는 사실을 지금까지 관여해 온 사람들에게 보고하는 자리 같은 느낌"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7~8월 추도식이 사실상 진행되지 못하면서 윤석열 정부의 유네스코 사도광산 한일 합의 졸속 논란은 새 정부에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재호

외교부·통일부를 출입하면서 주로 남북관계를 취재하고 있습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