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거석 전북교육감이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교육자치법) 위반 혐의로 당선 무효형이 확정되면서 차기 교육감 선거에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서거석 전 교육감이 전날 당선 무효형을 선고받으며 권한대행을 맡은 유정기 전북교육감 권한대행은 지난 27일 "그동안 추진해 온 '학생중심 미래교육'을 차질 없이 실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유 권한대행은 이날 긴급 전략회의를 갖고 "서거석 교육감의 직위 상실이라는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내년 6월까지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되게 됐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추진해 온 10대 핵심과제가 흔들림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사업의 연속성을 잃지 않아야 한다"며 "혹여라도 학교 현장에서 이번 상황 변경으로 인해 그간 진행되던 사업이 중단돼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이어 "무엇보다 학력 신장, 책임 교육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어려운 시기에 많은 분들이 걱정도 있을 테고 힘들 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같이 힘을 모아 나간다면 충분히 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선 열흘 전 쯤 인 지난 17일, 전북교사노조 정재석 위원장은 서거석 교육감의 교육정책과 직전 교육감이던 김승환교육감의 교육정책을 비교한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제해 관심을 모았다.
당시는 일주일 전 쯤, 전교조전북지부가 서거석교육감의 교육정책에 대해 직무수행 만족도에서 '매우 불만족 52%, 불만족 32%' 등 부정적 평가가 84%에 달하는 설문 조사 결과를 내놓은 시점였다.
반면에 직후에 발표된 전북교육청의 설문조사에서는 전북교육청의 10대 과제에 대해서 70~80%가 긍정적으로 답변한 상반된 결과가 발표됐다.
전북교사노조 정재석 위원장은 이에 대해 5가지 관점에서 서거석, 김승환 전 교육감의 교육정책에 대한 비교를 했다.
■서거석 교육감 교육정책 VS 김승환 교육감 교육정책
'교육활동보호'와 관련해 정 위원장은 "김승환 교육감 시절에는 수사 단계에서는 법률 지원도 없었고 교권변호사도 교권 보호관도 없었지만 서거석 교육감 때는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당한 교사는 수사단계부터 법률 지원과 전북교육인권센터의 교권 변호사들의 조력을 받을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교원노조와의 소통'에 대해서는 "서거석 교육감은 교원노조의 목소리를 들어주는 '협상가'로 봤고, 김승환 교육감은 2년 동안 공식적으로 한번 만났고 소통을 하지 않고 본인 주관대로 했다"고 평했다.
학부모들의 관심이 높은 '학력 정책'과 관련해서는 "서거석 교육감은 2022교육과정에 기반해서 개념기반탐구학습과 수업혁신, 초등총괄평가를 실시했고, 김승환 교육감은 '특정교원단체와 특정교대' 교수들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서 참학력, 성장평가를 보급시켰다"고 비교했다.
'에듀테크'와 관련해서는 "김승환 교육감 시절에는 에듀테크는 변방의 학문이었고 서거석 교육감이 되자 에듀테크 교사들의 전성기를 맞이했다"고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학생인권'분야에서는 "김승환 교육감 시절에는 학생인권교육센터에서 매해 약 100명의 교사들이 조사를 받았고 약 10명의 교사가 신분상 조치를 당했는데 서거석 교육감 시절에는 '아동학대' 수준이 아니면 조사를 하거나 신분 상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적었다.
전북교육계는 서거석 교육감이 임기 1년 여를 남겨 놓고 당선무효형으로 직위를 상실하면서 이제 내년 지방선거에서 새 교육감을 선출돼야 하는 상황으로 벌써 부터 교육감 선거에 대한 움직임이 달아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교육감 선거가 이제는 진영을 비롯해 이해단체의 주장과 논리에 묻혀 정작 교육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의견과 바람이 무시되는 방향으로 나아가서는 안된다는 도민들의 여론이 상당하다는 점을 교육감 선거에 나서는 후보자들은 명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