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군산시가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해상풍력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에너지 자립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군산시는 올해 3월 공포된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정 및 2026년 3월 시행을 앞두고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을 위해 사전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법률 시행 이후에는 정부 주도로 해상풍력 사업이 본격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집적화단지 지정을 받아 주도권을 확보하고 공공개발 방식으로 단지개발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그동안 시는 사업 초기 단계부터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민관협의회 운영을 통해 집적화단지 사업구역을 공식 결정하고 사업 추진의 정당성과 안정성을 확보했다.
군산시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는 약 1GW급 발전 용량이 목표이며 사업구역은 군산시 어청도 인근 해역으로 해당 해역은 바람의 질이나 양의 우수한 자원을 보유해 경제성이 높고 지속적인 주민 소통을 통해 높은 수준의 ‘주민 수용성’까지 확보한 우수 입지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 입지’ 컨설팅 등 집적화단지 지정을 위한 사전절차를 이행 중이며 ▲풍황 계측을 위한 공유수면 점용·사용 협의 ▲전력 계통 연계를 위한 한국전력과의 협의 ▲주민설명회·사업자 포럼 개최 등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집적화단지 지정’ 이후 조성 단계에서 지역의 경제·산업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군산시 해상풍력 기본계획 수립 용역’과 ‘해상풍력과 연계한 지역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보고회를 개최했다.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는 앞으로 해상풍력 TF팀을 조직해 산업 육성,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전문인력 양성, 관광 활성화 등 통합 전략을 본격적으로 수립해 나갈 방침이다.
군산시 관계자는 “지자체 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조성으로 군산시가 명실상부한 에너지 자립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며 “해상풍력 산업을 통해 배후항만 지정과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이바지할 것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