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신항 건설계획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한 번 확산되고 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5일 성명을 내고 “신항만 건설 앞세운 부동산 개발사업을 즉각 중단하라”며 사업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전날 제주도청에서 열린 ‘제4차 전국 무역항 기본계획 수정계획(제주항) 전략환경영향평가 주민설명회’와 관련 "사업 주체인 해양수산부가 단 한 명도 참석하지 않았다"며 "해수부 전략환경영향평가 대행 업체 관계자만이 참석해 주민들의 질문에 책임 있는 답변조차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특히 "제주신항 개발계획이 대규모 바다 매립을 통한 부동산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비판했다.
제주신항 사업계획에 따르면, 전체 면적의 64%인 80만9천㎡에 이르는 항만배후부지가 관광·상업시설 등 민자유치를 전제로 개발된다. 이 중 공유수면 매립 면적만 전체의 53%인 67만4200㎡에 달한다.
환경운동연합은 “크루즈·물류항을 내세우지만 본질은 부동산 개발사업”이라며 "협의내용을 무시한 채 사업을 강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2016년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에서 “'기존 항만시설을 재개발해 항만시설을 축소·폐쇄하면서 신항만 구역을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 제시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수정계획에는 내항 재개발과 항만배후부지 민간 투자 유치가 포함됐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제주항이 도내 전체 물동량의 85%를 차지해 향후 모든 물류와 크루즈, 여객기능이 제주항에 집중될 경우 물류 불균형이 심화할 수 있다는 '제주항의 물류 편중 문제'도 거론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신항만 건설예정지는 해양생태도 1등급 권역으로 해양보호생물의 주된 서식지이자 생태경관이 우수한 지역"이라며 "생태계 보전가치가 뛰어난 해역을 대규모로 매립해 토지 개발에 활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주항 기본계획 수정계획에 포함된 대규모 매립계획은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면서 "엉터리 주민설명회가 아닌, 각 마을별 주민설명회를 통해 진정한 주민 의견 수렴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