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안성의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교량 연결작업 중 교량이 상판이 무너지면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10명이 숨지거나 다친 사고와 관련해 충분한 사전 검토 없이 대형 장비를 운용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는 감정 결과가 나왔다.
경기남부경찰청 고속도로 붕괴 사고 수사전담팀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백런칭에 대한 구조 검토 없이 런처가 거동하는 과정에서 불안정 평형이 파괴돼 DR거더와 런처가 전도됐다"는 감정 결과를 회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사고는 '거더'(다리 상판 밑에 까는 보의 일종) 인양 및 설치 장비인 '빔런처'를 후방으로 뺴내려다 발생했다.
해당 빔런처는 전방 이동을 주된 기능으로 교각 위에 레일을 설치해 앞으로 전진하면서 가설한다.
경찰은 이에 따라 전진형 빔런처를 후진해 가면서 시공이 가능한지 집중적으로 살펴보던 중 국과수로부터 "'백런칭'에 대한 구조 검토 없이 장비를 운용하다 사고가 났다"는 내용의 감정 결과를 전달받았다.
경찰은 공사 관계자들이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특수 공사장비를 운용하다가 사고를 유발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경찰은 국토교통부와 산업안전보건공단 등 유관 기관의 감정 결과 역시 수사에 참고해 향후 최종 결과를 도출할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앞서 2월 28일 국과수 등 4개 기관 합동감식, 지난달 10일 국과수 2차 감식을 진행했다"며 "감정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자 책임을 규명하는 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사고는 지난 2월 25일 오전 9시 49분께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 구간 9공구 청룡천교 건설 현장에서 거더가 붕괴해 근로자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