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은 23일부터 국가유산청의 국비를 지원받아 진행되는 '2025년 역사문화권 중요유적 발굴조사'의 일환으로 마령면에 소재한 '합미산성'에 대한 제5차 발굴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합미산성은 해발 400m 내외의 섬진강 최상류 산봉우리에 위치한 산성으로, 2017년 진안군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이곳은 고대 백제·가야·신라의 세력들이 섬진강 유역과 서해안 일대로 진출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했던 교통의 요충지로 평가받는다.

성의 둘레는 약 608m에 이르며, 현재는 대부분의 성벽이 붕괴된 상태다. 다만 동남쪽 능선 약 70m 구간에서는 성벽이 비교적 온전한 형태로 남아있어 주목된다.
특히 백제시대에 축조되어 후백제 시대에까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전북지역의 백제·후백제 역사문화권의 대표적인 산성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정밀 발굴에 앞서 시굴조사를 먼저 실시해 유적의 성격과 구조를 구체적으로 파악한 뒤 본격적인 조사가 진행된다.
서쪽 성벽 인근의 가장 낮은 지형에 있을 것으로 보이는 집수시설 유적을 중심으로 당시의 생활상을 복원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는 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앞선 발굴에서는 남문지와 성벽, 일부 건물지 등이 제한적으로 확인됐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합미산성의 축성 기술과 변천 과정 등 산성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보다 입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진안군은 향후 산성 내 건물지 등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한 중장기 조사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한편, 합미산성과 관련된 영상은 진안군 공식 유튜브 채널인 '빠망TV'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