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미국산 감귤 ‘만다린’ 수입 급증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제주 감귤 농가가 도산 위기에 몰리고 있다.

만다린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2012년부터 관세가 단계적으로 철폐되면서 2026년에는 완전 면세돼 수입량이 2023년 587t에서 2024년 2874t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에 따르면, 2025년 한라봉과 천혜향 가격은 전년 대비 각각 20%, 28% 하락했다. 유통 차질로 인해 일부 농가는 한 달 넘게 선과 작업이 지연되며 출하를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런 가운데 대형마트와 편의점에는 미국산 만다린이 제주산 감귤 옆에 버젓이 진열돼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제주녹색당은 23일 논평을 내고 “기후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산 만다린의 저가 공세로 제주 만감류 가격이 급락하고 판매마저 부진한 상황은 제주 농업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며 “도정은 수수방관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수입 과일 공세에 도정은 실태조사조차 하지 않고 있다"면서 "농가들이 개별적으로 판촉 행사와 할인 경쟁을 벌이며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제주녹색당은 FTA 체결에 따라 지자체의 대응 여력이 제한적일 수 있지만, 지금처럼 아무 대응도 하지 않는 건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특히 "오영훈 도정이 감귤 농가 보호에는 소극적인 반면, 첨단 산업 유치와 같은 실현 가능성 불확실한 사업에만 집중하고 있다"면서 “열 명 중 한 명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는 제주의 현실에서 도정은 농민에게만 혁신을 외치지 말고, 도정이 먼저 제주 농가를 지키는 혁신적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관세법에 따라 수입 농산물 물량이 급증하거나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특별긴급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 제주의 대표 농산물인 감귤 산업은 도민 경제와 직결된 문제”라며 “제주도정은 감귤 유통 실태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함께 수입 과일 대응 전략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