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훈 도정의 버스요금 인상안이 도민들의 질타를 받고 원점으로 되돌아갔다.

제주도 물가대책위원회는 11년 만에 추진하는 버스요금 조정안을 심의했으나 도민 부담을 고려해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22일 오후 2시 제2차 물가대책위원회를 열고 버스요금 인상안을 심의했다.
심의된 안건은 제주도가 실시한 '제주특별자치도 버스요금체계 개선방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7월 1일부터 간선·지선버스 기준요금을 현행 1200원에서 1500원으로 300원 인상하는 내용이다.
위원회는 버스요금 인상의 필요성에는 대부분 공감했으나, 현재경기침체로 인한 도민들의 어려운 경제 상황을 고려해, 요금 인상폭과 시기에 대해 좀 더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제주도는 버스요금 인상폭과 적용 시기를 재검토한 조정안을 마련해, 5월 중 물가대책위원회를 다시 열고 재심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제주도의 버스 요금 인상은 20대부터 64세까지 서민에게 집중되고 있다.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경제에 찬물을 끼얻은 것으로 인식되면서 도민 여론이 들끓고 있다.
특히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 등 도내 20개 시민 단체와 정당은 21일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도의 버스 요금 인상안을 즉시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인상안이 시행될 경우 "읍·면 지역 주민들은 급행버스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요금 부담이 더 크다"면서 "최근 5년간 행정 주도로 주민 이동권을 제약하는 버스 감차를 단행한 광역자치단체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