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자치도 김제시 어촌계협의회가 새만금 신항의 신규 국가관리무역항 지정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들은 22일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정문 앞에서 김제시 어촌계 회원 및 주민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김제 어민들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과 새만금신항의 신규 국가관리무역항 지정을 촉구하는 김제 어업인 결의대회를 가졌다.
이날 결의대회는 해양수산부 중앙항만정책심의회의 새만금신항 법적지위 결정을 앞두고 억지주장 등을 일삼는 군산시의 행정을 비판하는 한편 새만금사업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김제 어민들의 억울함 호소와 새만금신항의 신규 국가관리무역항 지정을 요구하기 위해 추진됐다.
어촌계협의회 관계자는 “새만금 개발사업은 김제 어민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안겼으며 이는 21년 대법원 판결로 인정된 사실”이라면서 “현재 추진 중인 새만금신항이 김제 지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정책 결정 과정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지역사회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결의대회에 참여한 일부 어민들은 “새만금 사업전 김제 앞바다는 바다와 동진강 만경강이 만나는 풍성한 어장이었고 심포 갯벌은 온갖 조류와 어패류가 넘치는 활기 넘치는 곳이었다”면서 “새만금 개발사업으로 한순간에 내륙도시로 전락하고 삶의 터전을 잃어버렸음에도 정부 말만 믿으면서 지금까지 버텨왔으나 더 이상은 못참겠다”면서 참여의지를 밝혔다.
이날 결의문을 통해 김제어민들은 최근 상습적인 군산시 측의 억지 주장과 역사왜곡을 규탄하고 “새만금 해역은 과거 공유수면이었으며 뚜렷한 경계없이 3개 시·군 어민들이 자유롭게 항행하며 어업활동을 이어 나간 곳이었다”며 “오히려 김제는 모든 해안선이 막히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나 부안이나 군산은 나머지 해안선을 유지하면서 정부로부터 대체어항 조성사업도 유치했다”고 반문했다.
특히 군산 지역은 “새만금사업으로 새만금 산업단지 국제공항 선유도 관광단지 개발사업 등으로 막대한 개발이익을 독식해 왔으나 정작 김제는 바다만 잃었지 수혜받은게 하나도 없다”면서 군산시측에 더이상의 '피해자 코스프레'는 중단하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한 김제 시민들을 위한 정부 차원의 뚜렷한 보상 대책이 없는 상황에 김제가 바다를 되찾고 어업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었던 새만금신항마저 정치논리와 지역 이해관계에 의해 군산항의 부속항으로 격하된다면 김제시민들의 염원을 무시하는 처사임과 동시에 전북발전에 심각 저하가 우려된다면서 정부는 국가 항만경쟁력 발전과 김제 어민 생존권 보장을 위해 새만금신항을 반드시 국내 15번째 신규 국가관리무역항으로 지정해야한다고 강력히 요구했다.
이날 결의대회를 주관한 이만준 어촌계협의회장은 “이날 결의대회를 통해 김제어민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전달 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면서 “새만금신항은 전북권내 2개의 무역항 확보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신규 국가관리무역항으로 지정이 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