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시민 단체가 제주도의 버스요금 인상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제주도는 지난 11년 간 동결돼 온 현행 1200원의 버스요금을 1500원(15%)으로 인상하는 '제주도 버스요금체계 개선 방안 용역'을 추진했다. 인상안은 제주도 물가대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22일 최종 결정된다.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 등 도내 20개 시민 단체와 정당은 21일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도는 버스 요금 완화 정책을 수립해 즉시 시행하라"고 요구했다.
제주행동은 "제주도는 RE100을 달성했다고 자축하면서 뒤로는 300MW의 대규모 가스발전을 추진하고 있다"며 "대중교통 활성화를 외치며 양문형 버스, 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면서도 정작 버스 감차와 요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후재난을 막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일은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해야 하는 의무"라면서 "그런데 제주도정은 말로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이야기하면서 실제로는 버스를 감차하고 요금까지 올리려 한다"고 비판했다.
특히 "최근 5년간 행정 주도로 주민 이동권을 제약하는 버스 감차를 단행한 광역자치단체는 찾아보기 힘들다"며 "다른 시도들은 시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요금 인상을 억제하거나, 다양한 할인제도를 시행 중이다. 그러나 제주도는 국토부의 ‘K-패스’만을 홍보하며, 자체적인 요금 경감 대책은 마련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요금 인상은 20대부터 64세까지 도민에게 집중되고 있다. 이들은 "읍·면 지역 주민들은 급행버스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요금 부담이 더 크다"며 "현재 제주도의 대중교통 분담률은 10%대 초반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또 "이를 두 배 이상 끌어올리지 못한다면 수송분야에서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가용 감축과 대중교통 확대는 반드시 함께 추진돼야 한다. 그런데 지금 제주도는 그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지금 제주도에 필요한 것은 감차도, 요금 인상도 아니다. 도민의 발이 되어 줄 ‘진짜 대중교통’을 위한 정책이다"라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