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주변부’에서 벗어나 ‘국가전략의 중심축’을 자처하며 대선 공약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18일, 제21대 대통령선거를 겨냥한 지역 발전 공약인 ‘전북 메가비전 프로젝트’를 지역 국회의원과 정당 정책라인에 공식 제안했다고 밝혔다. 단순한 지역 요구 수준을 넘어, 국가정책과 연계된 실현 가능한 공약으로 정치권을 설득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번에 전북도가 제시한 메가비전은 9대 아젠다와 74개 핵심 전략사업으로 구성됐으며, 전체 사업 규모는 약 65조 2000억 원에 달한다. 특히 전북은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를 기점으로 초광역 균형발전 모델을 구축하고, 인근 광역지자체와의 연계 협력을 통해 SOC, 산업, 문화 인프라를 통합 확장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이와 함께 메가비전에는 △K-문화·관광산업 거점 조성 △대한민국 신산업 테스트베드 구축 △글로벌 K-초격차 미래산업 육성 △금융도시 구현 및 인재 양성 △첨단 농생명산업 수도 육성 △새만금 글로벌 전초기지 조성 △사통팔달 전북 광역권 인프라 확충 △생태경제 기반의 ‘2030 그린 전북’ 실현 등도 포함됐다.
전북도는 이번 공약이 단순한 지역 건의를 넘어, 국가 균형발전 전략과 호흡을 맞춘 실현 가능한 정책형 모델이라는 점을 부각하며 정치권 설득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는 앞으로 대선 일정에 맞춰 정당, 국회, 대선 캠프 등을 상대로 아젠다별 대응 전략을 체계화하고, 공약 반영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실무 협의도 이어갈 계획이다.
천영평 전북도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메가비전 프로젝트는 단순한 지역 숙원사업이 아니라, 국가전략과 연계된 실현 가능성 중심의 공약 모델”이라며 “전북은 더 이상 변방이 아니라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중심축이 될 충분한 잠재력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