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의 지속개발을 위해 만경강 하구권역을 '생태농업과 관광형 국가정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새만금 내부수질관리에 가장 유리하는 학계의 분석이 나왔다.
김성환 국립군산대 교수는 17일 오후 전북대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새만금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전문가 토론'에 참석해 "만경강 하구권역의 활용은 생태농업과 관광형 국가정원 모델이 최적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김성환 교수는 이날 '만경강 하구권역의 활용유형에 따른 새만금 내부 수질관리' 자료를 통해 "생태농업은 친환경농업을 촉진하고 비점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국가정원은 자연형 수로와 습지시스템을 통한 정화가 가능하며 지역 참여와 생태교육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성환 교수는 "새만금사업은 국토확장과 지역발전을 위한 핵심사업이며 수질문제는 새만금의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과제"라며 "특히 만경강 하구권역은 내부호로 유입되는 주요 유역"이라고 덧붙였다.
김성환 교수는 "활용유형에 따라 새만금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고 다기능 복합용지와 생태설계가 수질개선의 핵심이다"며 "정책적 연계와 시민참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경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은 이날 토론에서 "해수호의 완전 전환을 전제로 새만금 내·외해역 해양환경 보전 및 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새만금 유역 개발에 따른 해양환경 영향을 감시하고 진단하고 예측하고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환경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경태 연구원은 또 "환경-생태-경제-사회 간 통합적 접근으로 연안의 환경·생태적 가치 개선과 증진을 통한 경제·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 확보가 필요하다"며 "기존의 새만금호 수질개선 대책의 문제분석 진단 및 관리 로드맵 마련도 절실하다"고 언급했다.

김 연구원은 "새만금 유역에서 유입한 오염물질이 방조제 내부 환경을 악화시키고 외해역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따라서 유역과 호수 내부해역, 외해역에 대한 조사주체 정립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체계 구축도 요청된다"고 덧붙였다.
김환용 녹색주민대표 상임대표는 "새만금이 단군 이래 최대 국책사업임에도 책임감 있는 정권은 없었다"며 "새만금과 관련한 셀 수 없는 보고서와 정권이 바뀌면 등장하는 청사진이 어지간한 빌딩보다 높게 쌓을 수 있을 정도"이라고 지적했다.
김환용 상임대표는 "새만금은 문명 리셋을 보여야 한다"며 "절차에 눌리지 않고 목적을 잃지 않는 행정, 단지 이용할 수 있는 토지의 확장이 아니라 지역의 정서와 존엄을 살려 주민들에게 무력감이 아닌 새로운 전망과 생의 의욕을 불어넣을 수 있는 완성도 높은 새만금, 단순 토목공사가 아닌 예술의 경지로 리셋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