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훈종 경기 하남시의회 도시건설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15일 제339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하남시의 역사문화유산 보존 및 공존 방안과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최 의원은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었지만, 그 뿌리가 되는 고유 지명과 역사적 흔적이 대부분 사라졌다"며 미사지구와 감일지구의 사례를 언급했다.

특히 구석기 유적과 백제 고분군 등 하남의 역사적 자산이 개발 과정에서 소실된 점에 대해 깊은 아쉬움을 표했다.
최 의원은 "도시는 시간이 지나며 재개발되지만, 문화유산은 한 번 훼손되면 복원이 어렵다"며, 향후 교산지구 개발에 있어 유적의 원형 보존 방안이 함께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의원은 관련 사례로 서울 공평동 도시유적전시관과 이탈리아 로마의 나보나광장 지하유적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지하에 유적을 보존하고 지상에 건축물을 세우는 방식처럼, 하남도 신·구가 어우러진 도시구조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춘궁동 유적과 관련해서는 시민참여 방식의 발굴조사를 제안했다.
최 의원은 "이 지역은 고대 도시유적으로 추정되며 학자 간 논쟁도 많은 곳"이라며, "앞으로는 시민들이 발굴현장을 직접 참관하고 과정을 함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는 지역 정체성에 대한 오해를 줄이고, 문화유산에 대한 시민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최근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 하남문화원의 '이성산성' 관련 영상이 높은 조회 수를 기록한 사실도 언급하며 "이성산성은 수십 년간 발굴이 진행됐지만 아직도 시대적 위치가 모호하다"며 하남시가 정체성 확립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최 의원은 "문화유산은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다리"라며, "신·구가 공존하는 도시로 나아가야 하남이 문화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훈종 의원은 지난 2월에도 국가유산 발굴 및 지정 확대와 반출 유물, 교산지구 매장유물 발굴과 관련해 시의 신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한 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