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지역 전자상거래 특송화물 물동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물류 거점으로서의 인프라와 경쟁력은 기대만큼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원장 이남호)은 최근 발간한 이슈브리핑을 통해, 전북이 특송물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보다 선제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북연구원은 “군산세관 특송물류센터가 지난해 정식 개장 이후 월 80만 건이 넘는 전자상거래 화물을 처리하고 있지만, 연계 인프라 부족과 대기업 물류센터 부재로 지역경제 선순환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전북은 군산항을 기반으로 한 한중카페리 항로와 특송통관 기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인천 아암물류단지 완공과 수도권 전자상거래 특화구역 확대에 밀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전북연구원은 전북 특송물류의 경쟁력을 살릴 방안으로 △군산항과 시다오항을 잇는 단일항로 기반의 안정적 물동량 확보 △새만금 트라이포트(항만·공항·배후단지) 연계 Sea&Air 복합물류체계 구축 △특송화물 자율주행 실증과 스마트 통관 시스템 도입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협력체계 강화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전북이 ‘중부권 국경 간 전자상거래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석도국제훼리 주 6항차 재개, X-ray 검색대 등 통관설비 확충, ‘웨이하이 비즈니스 전용창구’ 및 ‘패스트트랙(Fast-Track) 통관제도’ 도입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나정호 전북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전북은 특송물류의 중요한 분기점에 서 있다"며 "스마트·친환경 물류기술을 접목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전북형 전자상거래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면 중부권 특송물류 중심지로서의 가능성을 더욱 키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