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상공회의소와 광주경영자총협회가 광주글로벌모터스(GGM) 갈등 조정·중재안에 대해 수용을 거부한 노동조합에 유감을 표하고, 중재안 수용을 촉구했다.
광주상의와 경총은 8일 공동 성명을 통해 "중재안은 시민사회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노사 대타협 정신을 바탕으로 헌법상 노동3권을 존중하는 수준에서 마련된 것"이라며 "노조의 거부는 협정서 정신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양 단체는 "경영진이 전기차 수출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노조는 상생의 길을 거부하고 있다"며 "특히 '35만 대 생산 전 파업 유보'는 GGM 존립의 최소 조건으로,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설립 근간을 흔드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완성차 수출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노조까지 내부 갈등을 키운다면 GGM은 물론 광주형 일자리 모델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며 "지속 가능한 지역 경제 생태계를 위해 노조의 전향적인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일 광주 노사민정협의회 조정·중재특별위원회는 GGM 노사갈등 해결을 위한 조정·중재안을 제시했다. 중재안은 GGM 설립의 근간이 되는 노사상생발전협정서 준수를 양측에 요구했다. 경영진에는 노조 사무실 제공·조합비 공제·근로복지기금 확대를 권고했고, 노조에는 35만 대 생산 목표 달성 전까지 파업을 유보할 것을 요청했다.
광주시는 즉각 수용 의사를 밝혔고, GGM 경영진도 "협정서 취지와 일부 맞지 않는 내용이 부담되지만, 지역경제와 일자리 안정을 고려해 수용하겠다"고 입장을 내놨다.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GGM지회는 지난 3일 기자회견을 열고 중재안 거부, 사측과 조정중재특위에 집중협상 기간을 갖자고 제안한 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