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이번에는 '전북 우대론'을 들고 나왔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첫 합동 기자회견을 가진 전북 지역 10명의 국회의원은 지난 3년을 ‘잃어버린 3년’으로 규정하고 향후 조기 대선을 통해 전북이 당당하게 전북몫을 주장해야 한다는 논리를 펼쳤다.
3선의 안호영 의원은 "윤석열 파면은 단순한 정치적 교체가 아니"라면서 "그동안 이어져 온 전북홀대론을 끝내고 전북우대론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 할 때"라고 강조했고, 4선의 이춘석 의원은 "조기 대선에서 민주당이 집권한다 해도 전북의원과 단체장이 준비되지 않는다면 전북의 모습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북이 그동안의 소외와 홀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스스로 강해질 준비를 해야 한다는 '전북자강론'의 주된 설파 이유다.
전북 국회의원들은 한 예로 "윤석열 집권 3년은 전북에 가혹한 시간였다"면서 "2023 세계잼버리 파행으로 인해 전북은 국제적 신뢰를 잃었으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36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뤄냈으니, 잼버리대회를 돌이켜 보면서 "왜 그같은 일이 발생했고 문제는 무엇이었는지를 철저하게 따져 보면서 스스로의 힘을 키우는 일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할 것이다.
더구나 전북 정치권은 '비 온 후에 땅이 더 단단해지듯'이 지난 총선에서 10석 모두 민주당이 차지한 데다 오는 6월 조기대선을 성공적으로 치러 민주당에서 대통령이 배출된다면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네 번째 집권 여당 지역이 된다.
전북의 국회의원들 역시 선수가 늘어나면서 3선,4선,5선 의원이 여럿 생겼으며 민주당 사무총장(김윤덕 의원)을 비롯해 탄핵정국에서 국회탄핵소추단으로 2명(이춘석,이성윤)이 맹활약했으며 국회 상임위원장(안호영)으로도 활동하는 등 왕성한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다.
전북 국회의원들은 "그동안 이어져온 전북홀대론을 이제 끝내고 '전북우대론'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홀대론'을 끝내고 '우대론'의 시대를 열어야 할 주체와 역할을 해야 하는 이가 누구일까?
한편으로 전북이 홀대받은 책임의 1순위는 전북 국회의원들에게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우대론 시대를 열어야 할 당면 과제 역시 '전북의원들의 몫'이라고 할 수 있다.
돌이켜보면 2018년 민선 7기 전북도정의 구호는 '전북몫 찾기'였다.
그런데 아직 '전북몫'이 제대로 찾아지지 않았기에 이번에 전북 국회의원들이 또다시 '전북홀대론' 청산을 들고 나왔을 것이다.
그러나 그 다짐 역시 '고장난 레코드판'이 되지 않으려면 이제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단순히 조기 대선에서 표를 얻기 위한 얄팍한 '립서비스'에 그친다면 금방 들통이 날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전북 국회의원들은 동료 전북 의원들과 함께 '전북몫'을 제대로 챙기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 이전에 민주당 전북 국회의원들은 먼저 도민에게 사과해야 할 대목이 있다.
지난 잼버리파행 직후 전북도민은 '눈 뜨고 코 베인 식'으로 잼버리 파행의 책임을 고스란히 뒤집어 쓴 채 하루 아침에 '국가예산을 훔치는 대도(大盜)'로 몰리면서 새만금SOC 예산 5100억 원이 싹둑 잘려 나가는 경험을 했다.
전북 국회의원들은 속수무책이었다. 이 때도 전북도민 5천 여명은 정부여당의 횡포(?)에 가까운 새만금예산 삭감에 항의하며 국회의사당 앞에서 새만금예산 삭감을 규탄하는 총궐기대회를 가졌다.
더불어민주당은 중앙당 차원에서 전북 여론에 공감을 표하며 "새만금 예산을 전액 복원하지 않으면 내년 국가예산 통과는 없다"고 선언하기도 했지만, 연말에 슬그머니 합의해줬다.
합의 후 민주당이 한 얘기는 새만금 예산 '0.3조 원 증액'였다. 한때 대도(大盜)로 몰렸던 전북 도민의 '명예회복 값이 고작 3000억원이냐'는 원성이 터져 나오기도 했다.
전북은 5100억 원을 강탈(?)당했는데 절반이 조금 넘는 수준인 3000억 원만 복원해 놓고 복원 단위를 도민들이 헷갈리도록 꼼수를 썼는지 '0.3조 원 증액'이라고 한 것이다.
이제는 이런 꼼수를 쓰지 않기를 기대해 본다.
우선 전북 국회의원들이 약속한 '전북우대론'의 '리트머스시험지'는 그토록 소원했던 '대광법'(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전북에 잘 적용될 수 있도록 가장 효율적인 대안을 마련해 낼 것인지와 극심한 소지역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새만금신항만 국제무역항 지정 관련한 '원,투 포트' 시비 다툼을 어떻게 해소할 것 인지가 될 것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