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으로 직을 상실하면서 전국적인 정치 갈등이 일단락된 가운데, 전북은 대형 지역 현안 과제 대응에 나설 정책적 ‘골든타임’을 맞고 있다.
전북도는 2036 하계올림픽 유치를 비롯해 전북권 광역교통망 조기 구축, 새만금 내부개발 정상화, 신항만 건설 등 굵직한 국책사업을 잇따라 추진 중이다.
여기에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대광법) 통과 이후의 후속 조치와 행정구역 조정, SOC 조기 구축 등도 중앙정부 정책 결정에 좌우될 가능성이 커, 도내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치적 공백기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문도 나온다.
올림픽 유치 외교 본격화… 인프라 확충 '시급'
전북은 최근 2036 하계올림픽 국내 유치 후보지로 최종 선정되면서 개최지 위상을 확보하기 위한 ‘외교 스포츠’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8일 김관영 전북지사는 스위스 로잔을 찾아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을 직접 만나 전북 유치 계획을 설명할 예정이다.
전북도는 전주종합경기장을 중심으로 새만금, 무주, 정읍 등 도내 권역에 경기장을 분산 배치하는 구상을 수립하고 있으며, 올림픽 유치가 확정될 경우 공항, 항만, 도로 등 광역 인프라 확충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예산 지원과 정책적 뒷받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새만금 재정비·신항만 갈등 해소 ‘핵심 과제’
새만금 개발 사업은 세계잼버리 사태 이후 타당성과 실행력을 재점검하는 단계에 들어섰다. 전북도는 기존 공간계획을 전면 재정비해 RE100 기반 첨단산업단지, 스마트 수변도시 조성 등을 추진 중이며, 신항만 예타(예비타당성조사) 재도전을 통한 항만 정상화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최근에는 새만금 신항만의 운영 방향을 두고 ‘원포트’(새만금항 중심)와 ‘투포트’(군산항·새만금항 병행) 구상 사이의 입장 차가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불거지며, 항만정책 방향 조율이 새로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전북도는 새만금 신항만이 국토교통부의 ‘제4차 국가항만기본계획(2026~2035)’에 반영될 수 있도록 기획재정부, 해양수산부 등과의 정책 협의에 힘을 쏟고 있으며, 공항·항만·내부도로를 연계하는 인프라 예산 확보도 병행 추진 중이다.
대광법 통과 이후, 전주권 도시철도 등 후속 과제 산적
광역교통망 확충 역시 전북의 중점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말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대광법)이 통과되면서 전주권이 대광역 교통계획 수립 주체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도시철도, 환승센터, 통합요금제 등 지역 교통체계 설계의 법적 기반이 마련됐다.
전북도는 현재 국토교통부에 전주권 도시철도 사전타당성 조사, 권역별 환승거점 개발 등 10개 사업을 제안한 상태다.
하지만 이들 사업은 예타 통과와 국토부 계획 반영 여부에 따라 실행 가능성이 좌우되는 만큼, 정부와의 협의 전략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행정구역 개편·SOC 구축 등 ‘정치 리더십’ 시험대… 정무적 대응 집중해야
이 밖에도 전주·완주 행정구역 통합 논의, 동서3축 고속도로, 전주권 순환도로 건설 등 주요 사회간접자본(SOC) 사업들도 연내 국가계획 반영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특히 행정구역 개편은 단순한 지자체 경계 조정을 넘어 광역도시 기반 마련을 위한 구조 개편이자, 정치적 리더십이 요구되는 사안이다.
전북도는 이들 사업이 단순한 지역개발을 넘어 국가균형발전의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며, 정무라인과 실무부서를 중심으로 정부 및 정치권 설득에 집중하고 있다.
도내 정치권 관계자는 “전북이 요청한 주요 현안은 충분한 기획과 준비를 거친 만큼, 이제는 정부 정책에 반영할 시점”이라며 “정국이 안정된 지금이야말로 실질적 성과를 끌어낼 결정적 기회”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