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진 왕국' 가야의 실체가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2015년부터 금관가야 왕성의 실체 확인을 위해 실시 중인 김해 봉황동 유적 제10차(2024년) 발굴 유물을 공개했다.
1세기 대 변한의 최고 세력을 상징하는 최고급 의례용 옻칠 제기(목이 긴 옻칠 굽다리 접시) 15점을 최근 확인했다.
'김해 봉황동 유적'에서는 변한부터 이어지는 금관가야 중심지 위상이 확인된 셈이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오춘영)가 이번에 발굴한 유물들은 대규모 취락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구상유구(溝狀遺構)와 함께 깊이 약 0.7m의 유기물층에서 확인됐다고 밝혔다.
오 소장은 "조사구간은 약 109㎡(33평)의 비교적 좁은 공간이었다"며 "1~4세기에 제작·사용된 최고급 옻칠 목기를 포함한 300여 점의 목제품이 집중적으로 출토됐다"고 말했다.
오 소장은 "구상유구(溝狀遺構)는 일반적으로는 배수로 혹은 도랑 등으로 사용되었던 유구이다"면서 "그 목적에 따라 환호(環濠 방어용 시설)과 환구(環溝 영역 구분용 시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옻칠 제기(목이 긴 옻칠 굽다리 접시) 15점의 목 부분은 지름 1cm이다"고 하는 오 소장은 "기존 출토품들에서 확인된 지름인 3~4cm 보다 훨씬 가늘고 정교한 특징이 있다"고 말했다.
오 소장은 "바닥부분에 녹로(물레)를 고정한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초기 단계이나 그릇을 만들 때 돌려가며 작업하는 ‘회전 깎기’ 기술이 변한 시기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며 "당시부터 이어진 목공예 기술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오 소장은 "이 15점을 포함해 칼집형 칠기·원통형 그릇·뚜껑 등 총 30여 점의 칠기·항아리·새 모양 목제품·주걱·그릇·잔 등의 생활용 목기류·물레·베틀로 추정되는 직기용 부속구·자귀(목재를 가공하는 연장) 자루 같은 농공구 등 다양한 생활유물들도 함께 출토됐다"고 말했다.
즉 점을 치는 용도로 쓰인 점뼈(卜骨)과 소형 토제품 등의 유물도 확인돼 변한 시기 의례 관련 일면도 추정해 볼 수 있게 되었다는 뜻이다.
오 소장은 "최상위 위계 무덤의 부장품으로 알려졌던 옻칠 그릇(목이 긴 옻칠 굽다리 접시)이 생활유적에서 최다량 출토됐다"면서 "'김해 봉황동 유적'이 이미 1세기부터 독자적인 대규모 생활유적을 형성했다. 따라서 변한의 수장급 거처에서 점차 성장해 금관가야의 중심지인 왕궁지로 자리매김했음을 방증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오춘영 소장은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우리 국가유산을 일상 속에서 함께 호흡하는 살아있는 문화 자산으로서 보존·연구·활용하며 역사의 숨결을 이어가기 위한 적극행정을 실현해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