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제주도당이 4·3의 해결 12·3 내란의 청산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의당은 77주년 4·3추념식이 열린 3일 자료를 내고 "4·3정신의 진정한 계승은 12·3 내란수괴 윤석열과 내란세력의 심판과 처벌로부터 시작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정의당은 4·3추념식에 즈음해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 사건으로 아이가 죽고 서북청년단과 공권력 탄압과 단선·단정을 거부하며 저항했던 1948년 4·3이 어느덧 77주년이 됐다"고 회고했다.
이어 "숨죽여 4·3의 아픔을 삭이면서도 초토화된 제주 땅에 명실상부한 제주 공동체를 다시 일궈온 제주 후예들의 77년 세월"이라며 "4·3항쟁의 원흉인 미군정과 이승만 정권의 책임 규명, 희생자만이 아는 유가족들까지 국가의 책임을 다하는 것, 4·3을 왜곡하고 훼손하려는 시도들에 대한 엄중한 처벌을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또 "77년 세월에도 아직 다 아물지 않은 4·3의 아픔을 간직한 제주도민들에게 윤석열의 12·3 불법비상계엄은 서슬퍼런 공포의 회귀였다"고 비판했다.
특히 제주 4·3의 이야기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한 강연에서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한 적이 있다"면서 "3만명이 넘는 사람이 학살당한 이 제주 땅은 77년의 세월동안 죽은자가 산자를 구하며 일궈져 왔다"고 말했다.
정의당은 "12.3 비상계엄 해제 역시 죽은자가 산자를 구했다. 이제 4·3의 백비를 제대로 세우며 산자가 죽은자를 구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