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도 꼴찌권인 전북자치도 군산시가 '외부 감사관제'를 도입할지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30일 오전에 방영된 전주MBC '지방자치 브리핑-단체장에게 듣는다'에 출연해 "군산시의 청렴도가 하위권을 기록한 바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은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받자 "여러 대책을 세우고 있다. 외부 감사관제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외부 감사관제 도입'의 경우 다른 기초단체에서 '지역 실정을 잘 몰라 오히려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며 "그렇다 해도 청렴은 미룰 수 없는 중요한 과제이다"고 언급했다.

강임준 시장은 또 군산시의 이차전지 업체 유치와 관련해 "새만금에 부지가 모자랄 정도로 많은 기업들이 들어오고 있다"며 "새만금개발청 등 관계부처에 이차전지 기업 유치를 위한 매립을 서둘러 달라고 요청해 놓고 있다"고 말했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이차전지 산업과 관련해 군산시가 대한민국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다른 지역 이차전지 기업유치와 달리 백지에서 지정했기 때문에 기업들이 계속해서 들어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군산시는 국민권익위의 '2024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인 '5등급'을 받아 시민들의 자존심에 큰 상처를 줬다.
군산시는 2018년 3등급을 받은 후 2020년부터 4등급으로 하락했고 지난해에는 급기야 최하위까지 내려갔다.
청렴체감도 64점(5등급)과 청렴노력도 73.3점(4등급)으로 종합청렴도에서 66.4점을 기록하며 가장 낮은 5등급에 머물렀다. 내부 체감도에서 전국 평균(63.3점)을 훨씬 밑도는 38.7점을 받는 등 청렴을 외치면서도 내부 문화에서는 문제가 그대로 드러났다.
이 상황에서 전북자치도감사위원회는 작년 12월에 '군산시 종합감사 결과'를 발표하고 기관경고 1건과 주의·시정 6건 등 행정상 처분 28건을 포함한 재정상 처분 16억1533만원과 신분상 처분 52명을 군산시에 요구해 "군산시의 청렴도 꼴치에 이유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