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가 지리산 일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확산을 막기 위해 모든 가용 자원과 인력을 총동원하며 비상사태에 돌입했다.
26일 최경식 남원시장은 지리산 산불 확산 소식을 접한 즉시 현장에 달려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분야별 대응계획을 신속히 추진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최 시장은 "신속한 진화 작업과 함께 주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모든 자원을 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강력한 대응을 주문했다.
현재 경남 산청과 하동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은 엿새째 이어지며 지리산국립공원 경계로 확산됐다. 이에 따라 산청군 416세대 594명, 하동군 595세대 1083명이 긴급 대피시설 21곳으로 대피했다.
이번 산불로 인해 주택, 사찰, 공장 등 64개소가 전소됐으며, 사망자는 4명, 부상자는 13명으로 보고됐다. 헬기 30대와 인력 1,700여 명이 동원되어 진화 작업이 진행 중이나, 험준한 산세와 건조한 기후로 인해 불길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상청은 건조주의보를 발령하며 산불 확산에 대한 추가 경고를 내린 상태다.

남원시는 산불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한 대응에 나섰다. 이를 위해 △산불 취약지역 점검반 △주민 안전대책반 △긴급 구호물자 지원반 △사후 관리반을 운영하며, 주민 대피 유도 및 현장 통제 등 산불 발생 대응 매뉴얼을 철저히 이행하고 있다.
26일 남원시 주재로 열린 산불 비상 대책 간부회의에서는 한 단계 높은 분야별 대응계획이 논의됐다. 남원시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산불 종합 강화대책반을 운영하며, 산불 감시원 2인 1조 편성을 통해 취약 시간대 집중 순찰을 강화했다. 또한 직원 상시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하고 읍·면·동 비상연락망 점검과 주민 대상 순찰 및 안내를 강화해 초동 진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남원시는 경남과 경북, 울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 사례를 분석하여 주민 안전 대책을 면밀히 수립했다. 생활 안전시설(노인, 장애인, 주민)에 대한 대피계획을 마련하고, 산림 인접 가구 현황을 파악해 비상단계 발령 시 관내 임시 주거시설(41개소)의 사용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 중이다. 또한 안전총괄부서는 민방위 대피시설 및 주민대피시설을 점검하며 비상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남원시는 앞으로도 산불 예방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유관 기관과 협력 체계를 유지하며 신속한 대응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최경식 남원시장은 "작은 산불도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산불 발생 지역의 민가 및 농장 여부를 신속히 확인하고 비상 단계를 결정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역 주민들에게 건조한 날씨 속에서 영농 폐기물 및 논밭두렁 소각을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