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박완수 경남지사 "지리산 국립공원 꼭 지켜낼 것"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박완수 경남지사 "지리산 국립공원 꼭 지켜낼 것"

"최우선 목표는 확산 막는 것...중앙정부 신속하고 전폭적인 지원 절실"

"대한민국 제1호 국립공원을 지켜내야 할 절체절명의 순간입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27일 산청 산불 현장에서 이같이 피력했다.

박 지사는 "경남도는 산불이 국립공원 경계선을 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여왔다"며 "26일 오후 강풍에 날린 불티가 지리산 국립공원 구역 안으로 옮겨붙으며 결국 불길이 공원 내부로 확산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우선 목표는 불길을 최대한 빠르게 진압해 더 이상의 확산을 막는 것. 중앙정부 차원의 신속하고 전폭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산청 산불 현장에서 대응 지시를 하고 있는 모습. ⓒ경남도

박 지사는 "지리산 국립공원은 1967년 대한민국 최초로 지정된 국립공원이다"면서 "국립공원 제1호의 의미는 지리산 전역을 역사적·문화적·생태환경적 가치를 국가가 처음으로 인정한 것이다"고 말했다.

박 지사는 또 "지리산 국립공원은 총 면적 483.022km²에 달한다"며 "전남·전북·경남 3개 도에 걸쳐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립공원이다. 광활한 면적 안에는 고산지대·계곡·원시림·희귀 야생동물 서식지 등 다양한 생태계의 보고이다. 게다가 우리민족의 정서와 정신이 깃든 민족의 영산(靈山)으로 불려왔다"고 덧붙였다.

특히 "지리산은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의 시작점이기도 하다"면서 "현재 80마리가 넘는 반달가슴곰이 서식 중이다. 지리산을 둘러싼 복원사업은 생태적 책임과 미래세대를 위한 실천의 상징이 되어 왔다"고 밝혔다.

박완수 도지사는 "현재 산불 진화작업은 강풍·건조한 날씨·험준한 산세로 인해 매우 어려운 여건 속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하면서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물러설 수는 없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지켜 낼 것이다. 도민 여러분의 마음을 모아 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즉 우리는 지금 그 가치를 지켜낼 막중한 책임 앞에 서 있다는 뜻이다.

한편 경남도는 현재 산림청·소방청·군부대 등 유관기관 과의 긴밀한 공조 아래 진화 헬기·전문 인력·방화선 장비 등을 총동원하고 있다. 여기에다 지리산 국립공원 경계에 대한 입체적 방어 전략을 가동 중이다. 열 감지 시스템 운용과 실시간 상황 점검 체계도 강화하고 있다.

현재 27일 오전 5시 기준, 산청과 하동 산불 진화율은 77%이다. 산불 영향 추정 구역은 약 1720헥타르로 집계되고 있다. 총 화선 67km 중 51km가 진화됐으며 남은 16km의 구간에 대해 집중 진화가 이어지고 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조민규

경남취재본부 조민규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