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고성 배둔장터에서 3·1절 독립만세운동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
고성군 3·1운동창의탑보존위원회는 19일 회화면 배둔리 3·1운동창의탑 행사장에서 '제106주년 3·1절 배둔장터 독립 만세운동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배둔장터 독립만세운동은 1919년 고종황제의 인산(장례식)에 갔다가 서울에서 3·1만세운동에 참가했던 최낙종, 최정철 선생이 고성으로 돌아와 허재기, 최정원 등 여러 인사들을 비밀리에 규합한 후 이들과 화합해 만세운동을 준비했다.

이후 1919년 3월20일 구만면 국천사장에 군중이 모여 들었고, 최정원은 독립선언서를 낭독, 허재기는 공약 3장을 지킬 것을 다짐하며 대한독립만세를 불렀다.
이들은 당시 배둔장날인 회화면 배둔장으로 향했고, 이를 알아차린 일본 고성 헌병분견소 헌병과 경찰의 총칼 협박에 저항하며 배둔시장에 도착, 참여한 700~800여 명의 군중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불렀다.
이를 기념하기 위한 배둔장터 독립만세운동 행사는 2008년 부터 시작돼 올해로 15회째를 맞았다.
이날 기념식에는 독립애국지사 유족 및 보훈단체, 기관·사회단체, 학생 등을 비롯해 군민 350여 명이 참석해 독립만세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기렸다.
참가자들은 창의탑을 출발해 회화면 배둔시장을 지나는 길을 함께 행진하며 106년 전 배둔장터에 울려 퍼진 대한독립 만세운동을 재현했다.
최근호 3.1운동창의탑보존회장은 "우리지역도 독립운동을 펼친 사실이 너무나 영광스럽고 자랑스럽다"며 "선열들의 나라를 되찾으려는 정신을 이어받아 나라사랑을 실천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상근 고성군수는 축사에서 "106년 구만면 국천사장을 시작으로 이곳 배둔장터에서 선조들이 치열하게 외쳤던 독립만세운동은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자랑스런 역사"라며 "이를 통해 후손들이 자랑스러워 할 수 있는 자유와 평화, 번영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자"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