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가 추진 중인 저출생 현상 대응 정책의 폭이 만남부터 육아까지 지원의 폭을 더욱 넓히며 출생정책 선순환 구조를 마련했다.
유정복 시장은 13일 기자회견을 열고 추가된 ‘인천형 출생 정책’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정책은 ‘아이플러스 이어드림’과 ‘아이플러스 맺어드림’ 및 ‘아이플러스 길러드림’ 등 3종이다.
‘아이플러스 이어드림’은 청년들의 사회적 교류 감소와 결혼중개업체 이용 부담으로 인한 결혼 포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지역에서 거주 중이거나 직장에 재직 중인 미혼 남녀(24∼39세)에게 자연스러운 만남과 교제의 기회를 지원하는 정책이다.
미혼 남녀 만남 행사는 1회당 100명씩 연간 5차례 개최될 예정으로, 시는 오는 6∼11월 중 호텔과 공공시설 또는 야외행사장 등지에서 커플축제 형식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아이플러스 맺어드림’은 과도한 결혼 비용과 예식장 예약 전쟁 등으로 결혼을 미루는 예비부부의 행복한 결혼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 내 공공시설 15곳을 무료 예식장으로 개방하고, 예식비 일부(1쌍당 최대 100만 원)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시는 올해 총 40쌍의 예비부부를 지원할 예정이다.
‘아이플러스 길러드림’은 양육 부담 해소를 위한 촘촘한 돌봄 지원 정책이다.
기존 출산 지원 정책인 ‘아이플러스 1억드림’에 더해 돌봄 공백을 메우기 위한 체감형 지원 정책으로, △1040천사 돌봄 △틈새 돌봄 △온밥 돌봄 등 3가지 사업으로 구성됐다.
우선 정부가 지원하는 돌봄시간(연 960시간)을 초과한 돌봄이 필요한 가정을 위해 최대 1040시간까지 돌봄서비스를 확대하고, 이른 아침부터 늦은 저녁과 주말 등 온종일 돌봄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맞벌이 등으로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가적의 아픈 아이를 돌보거나 안전한 이동 서비스도 제공된다.
또 다함께돌봄센터 이용아동과 결식 우려 아동 등에 대한 방학 중 무료 점심식사 지원 또는 식사비 지원 등을 통해 균형 잡힌 식사를 제공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앞서 시는 2023년 1호 출생정책인 ‘아이플러스 1억드림’을 시작으로, 2호 정책인 ‘아이플러스 집드림’과 3호 정책인 ‘아이플러스 차비드림’ 등을 추진하며 인구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왔다.
그 결과, 지난해 출생아 수 증가율이 전년 대비 11.6% 상승하며 전국 1위를 기록했고, 올 2월 기준 주민등록 인구수도 전월 대비 4205명 증가하며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2023년 실질 경제성장률도 전년 대비 4.8% 증가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은 성과로, 인천시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가져온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된다.
유정복 시장은 "인천형 출생정책은 단순한 출산 장려책이 아닌, 청년들의 만남부터 결혼·출산·양육까지 전 생애 주기에 걸쳐 촘촘하게 지원하는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실효성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인천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