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비상계엄 선포 100일째를 맞은 12일, 광주·전남지역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 파면을 촉구하는 움직임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광주·전남 비상시국회의와 광주·전남민주화운동동지회는 이날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이 윤석열을 석방했다고 해서 죄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며 "하루라도 빨리 내란수괴를 다시 감옥으로 보내지 않으면 법질서 붕괴는 불 보듯 뻔하다. 이번 주 내 반드시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탄핵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전남 변호사단체들도 윤 대통령의 즉각적인 파면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며 법원의 석방 결정을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는 성명을 통해 "이번 구속취소 결정은 법원이 피고인에게 유리한 법 해석을 위해 형사소송법에 규정된 법률해석 범위를 벗어난 무리한 판결"이라며 "법적 안정성을 훼손한 결정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헌법재판소의 조속한 탄핵 결정이 12·3 불법계엄 이후 100일 가까이 지속된 대한민국의 분열과 혼란을 종식시키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18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광주 비상행동'은 윤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될 때까지 철야 집회를 지
속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와 함께 광주·전남의 단체장들과 민주당 지역 정치인들은 1인 시위·삭발·단식 등 강력한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는 매일 1시간 동안 각각 광주 5·18 민주광장과 무안군 전남도청 앞 사거리에서 손팻말을 들고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김이강 광주 서구청장은 퇴근길 1인 시위를 펼쳤으며, 문인 광주 북구청장은 청사 외벽에 '윤석열 파면'을 촉구하는 현수막을 내걸었다.
광주 민주당 소속 지방의원들도 윤 대통령의 즉각적인 탄핵을 요구하며 5·18민주광장에서 단식 농성에 돌입했다.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들도 단식·삭발 투쟁에 들어갔다.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을)은 전날 오후부터 광화문 인근 천막에서 단식농성을 시작했고, 전진숙 의원(광주 북구을)은 삭발 투쟁에 나서며 강한 결의를 보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