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올레(올레길)의 경제적 가치가 3175억 원으로 평가됐다. 방문을 통해 얻는 만족감과 편익을 반영한 1일 1인당 지불 의향액은 평균 7225원으로 조사됐다.

제주연구원(원장 직무대리 박원배)은 비영리 사단법인 제주올레가 운영·관리하는 '제주올레의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제주올레의 경제적 가치는 이용가치 2142억 원과 비이용가치 1033억 원을 합산한 금액으로 추정됐다. 이용가치는 제주올레 방문객이 체감하는 경제적 혜택을 화폐로 환산했다.
제주올레의 자연자원 가치를 경제적으로 환산하고자 조건부가치평가(CVM) 기법을 적용했다
조사 결과, 1일 1인당 지불 의향액은 평균 7225원, 제주올레 보전을 위해선 1일 1인당 1만 6260원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비이용 보전가치는 방문 여부와 관계없이 제주올레의 자연환경과 경관을 보전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을 반영한 가치다.
방문객들은 휴식·회복(58.2%)과 경관(52.0%)을 이용가치의 핵심 요소로 꼽았고, 비이용가치에서는 보전(56.6%)과 유산(38.8%) 가치를 중요하게 평가했다.
이번 조사는 제주올레 방문 경험이 있는 전국 20~69세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의 31.8%는 제주도민이었고, 68.2%는 관광객이었다.
이현지 부연구위원은 "제주올레 이용객들은 올레를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제주올레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행정과 도민, 운영 주체인 사단법인 제주올레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구 결과는 제주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