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광역시는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경기침체와 대내·외 불안정한 경영환경 속에서 ‘경제 선순환’의 실현을 위한 정책을 마련했다.
11일 시는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인천신용보증재단과 6개 협약은행과 함께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시는 올해 2875억 원의 특례보증을 소상공인에게 지원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2630억 원보다 245억 원 확대된 규모로, 금융기관 출연을 통한 협약보증(1974억 원) 등을 포함할 경우 소상공인을 위한 경영안정자금 지원 규모는 지난해 보다 875억 원이 늘어난 총 4849억 원에 이를 전망이다.
‘특례보증’은 담보가 없어 은행에서 융자받지 못하거나 자금 사정이 열악한 소상공인이 금융기관으로부터 저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도록 완화된 심사 방법을 보증하는 제도다.
인천시에 사업장을 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인천신용보증재단이 업체당 최대 3000만 원(소공인은 2억 원)을 보증한다.
시는 또 최대 3년간 연 1~2%의 이자를 지원해 소상공인의 금융 부담을 줄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실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는 경영 안정을 최우선으로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경영 위기를 겪는 소상공인의 회복을 적극 지원한다.

올해 총 6개의 특례보증 사업을 추진하는 시는 1월부터 ‘희망인천 특례보증’을 단계별로 시행(1월, 5월, 9월) 중이며, 3월 ‘소공인과 취약계층 특례보증’과 5월 ‘청년창업 특례보증’, 8월 ‘상권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특례보증’을 순차적으로 시행한다.
시는 또 정부 정책의 기조 변화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적경제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민·관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다양한 체감 정책도 추진한다.
자생력 강화와 판로 확대를 통해 사회적경제 위기를 극복 목표로 △사회적경제 민관정책협의회 운영 △판로확대 통합지원단 구성 및 운영 △사회적경제 제품 공공구매 상담회 개최 △사회적경제 시민서포터스 운영 등을 시행하며, 공공기관에 몰려 있던 사회적경제제품의 수요를 민간으로 확장하고 민간기업과 상생 협력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판로확대 통합지원단’을 구성해 민·관 협업을 통한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성장생태계 조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공공기관에 우수한 사회적경제 기업 제품을 소개하는 ‘사회적경제제품 공공구매 상담회’를 개최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기업들이 공공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시는 126명의 시민으로 구성된 ‘우리동네 사반장’과 대학생 12명으로 구성된 ‘청년공감기획단’ 등 사회적 가치 확산을 위한 시민 서포터스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사회적경제 홍보와 콘텐츠 개발을 통한 시민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등 사회적경제의 선한 영향력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