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신공항 건설을 통해 부산·울산·경남 지역 활성화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협의체가 활동에 돌입했다.
부산시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울산시, 경상남도,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연구기관 등과 함께 28일 부산에서 가덕도신공항 거버넌스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거버넌스는 지난해 12월 20일 6개 관계기관이 체결한 업무협약 후속 조치의 일환으로, 가덕도신공항과 부산항-진해신항 기반(인프라) 건설을 계기로 부울경 지역 활성화 전략을 함께 논의하기 위한 협의체다.

이날 첫 회의를 시작으로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속 운영되며 정부·지자체·연구기관·민간 등 총 40여개 기관이 5개 분과로 나뉘어 활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거버넌스 운영 초기에는 공항 설계 반영 필요사항과 최근 연이어 발생한 항공 사고와 관련 안전 확보 방안을 최우선 논의해 나간다.
또한 이용자 관점의 공항설계, 교통 기반(인프라) 간 연계, 항공사 유치 및 거점항공사 육성, 복합물류 연계 체계, 개발계획 간 연계 등 분과별로 올해 우선 논의할 과제를 선정한다.
거버넌스는 오늘 첫 회의를 시작으로 매달 1~2회의 분과회의와 격월로 전체회의를 개최해 과제를 구체화한다. 부지조성공사 및 건축공사의 실시설계가 진행되는 3분기에는 그간의 논의 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윤상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이사장은 “가덕도신공항을 최고의 안전성과 편의성, 효율성을 모두 갖춘 완벽한 공항으로 조성하며 남부권 전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혁신성장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거버넌스 참여 기관들과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허남식 부산시 신공항추진본부장은 “가덕도신공항은 첨단 기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아우르는 혁신의 기반(인프라)으로 우리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며 “단순히 지방 공항 하나를 더 건설하는 데 그치지 않도록 물류, 관광, 국제 비즈니스 기능을 총망라해 그림을 크게 그려 나갈 것이다”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