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천시가 경기형 과학고 유치에 성공했다. 이로써 지역 명문 부천고는 2027년 3월 과학고로 전환, 새롭게 출발한다.
28일 부천시에 따르면 부천의 과학고 설립을 비롯한 교육 인프라 확충은 시민의 오랜 염원이었고, 시는 이에 부응하기 위해 과학고 설립에 계속해서 도전했다. 2006년 외국어고, 2015년 과학고 설립을 추진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시는 2023년 과학고 설립에 다시 도전장을 냈다. 민·관·학 협의를 통해 신설이 아닌 부천고의 과학고 전환 방식을 택했고, 같은해 12월 부천시의회·부천고등학교·부천교육지원청과 함께 ‘부천시 과학고 설립을 위한 공동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과학고 설립 추진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부천 과학고 설립을 향한 시민들의 열망과 지지도 뜨거웠다. 지난해 7월에는 주민, 학부모, 부천고 동문, 과학교육전문가로 구성된 민간 주도 협의체 ‘부천고 과학고 전환 추진 공동대책위원회’가 발족했다.
발족식에는 부천에 지역구를 둔 서영석·김기표·이건태 국회의원실에서도 참석해 힘을 보탰으며, 위원회는 과학고 설립을 위한 시민의 목소리를 모으는 데에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시도 발 빠르게 움직였다. 시민 의견 수렴을 위한 시민설명회를 3개 구(區)에서 진행했고, 많은 시민이 참여해 높은 관심과 호응을 보였다. 특히 과학고 설립을 위한 시민 서명운동에는 부천시 인구의 약 10%인 7만여 명이 참여해 과학고 설립을 향한 시민들의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시는 과학고 설립이 지역의 숙원사업이라는 사실과 부천고가 과학고 전환에 있어 최적의 학교라는 점을 적극 피력했다.
부천고는 2016년부터 과학 중점학교로 운영돼 과학고 전환이 비교적 수월하고, 그린스마트스쿨 경기형 공간 재구조화 사업 공모를 통해 시설 개선사업비 230억 원을 확보해 신설 대비 예산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부각했다.
로봇·문화예술 등 부천만의 강점을 활용한 차별화 전략도 세웠다. 부천로봇산업연구단지 등 지역 로봇산업과 연계한 인공지능(AI) 로보틱스 전공 트랙을 개설하고, 부천문화재단·경기예술고등학교와 협력해 부천예술과학아카데미와 애니사이언스 등 창의·융합형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계획도 마련했다.
경기형 과학고 선정을 위한 단계별 절차에도 막판까지 공을 들였다. 1단계 심사 중 공정성을 위해 추가된 심층 질의 면접에는 조용익 부천시장이 직접 참여해 부천 과학고 설립 필요성과 당위성, 강점을 적극적으로 개진해 눈길을 끌었다.
1단계 예비 지정 후 제출하는 지정신청서는 과학고 전환으로 발생하는 단계적 과도기 운영 방안을 실질적으로 고민해 담았다. 바로 현장에 적용해도 무방할 정도로 실행 가능성과 완성도를 높였다.
그 결과 부천시는 △로봇 분야 특화 교육과정 △학교 전환의 구체적 방안 제시 등에서 높은 점수를 얻으며 경기형 과학고 설립 지역으로 최종 확정됐다. 경기도 교육감의 최종 지정·고시가 이뤄지면, 2027년 부천 과학고가 개교한다.
조용익 시장은 “부천 과학고 설립 최종 확정 소식을 전할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체계적인 준비와 시민의 적극적인 지지로 과학고 설립이라는 오래된 염원을 이룰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부천 과학고를 통해 미래를 이끄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키우고, 부천시를 경제와 미래 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첨단과학 교육도시로 만들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