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19일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와 관련해 "공동 개최는 동의하지 못하지만 만약 저희(서울시)가 개최권을 가져온다면 허용 범위 내에서 최대한 전북도와 분산 개최할 수 있다는 의사를 전북에도 전달했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제328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유정인 서울시의원(국민의힘·송파5)의 질문과 관련해 이 같이 답변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전북이 처음에 공동 개최를 제안했지만 그렇게 응하지 못 했다"며 "올림픽은 국제 행사이고 개최를 원하는 외국 도시들에 비해 가점을 받아야하는데 공동개최가 감점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았다"고 말했다.

전북자치도는 이에 대해 "서울시에 공동개최를 처음 제안할 때부터 서울시는 '분산개최'를 이야기했다"며 "이번 오세훈 시장의 분산개최 언급으로 달라질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전북도는 처음에 서울시에 공동개최를 제안했지만 서울시가 응하지 않았고 몇 종목을 나눠 진행하는 분산개최는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공동개최와 분산개최의 가장 큰 차이는 '대회명'이다.
서울시와 공동개최할 경우 대회 명칭을 '서울·전주 2036년 하계올림픽'이라고 하는 등 전북 전주가 포함돼 지역의 국제적 브랜드 가치 상승과 대회의 중심 역할 등이 기대된다.
대신에 분산개최한다면 대회명은 '서울 2036년 하계올림픽'으로 하고 전북에서 몇 종목을 치르는 정도이어서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8월부터 타 지자체의 경기장 활용을 위한 업무협의를 추진하는 등 사실상 분산개최를 추진해왔다.
전북도는 2036년 하계올림픽의 몇 종목을 전북으로 가져오는 것으로는 큰 의미가 없다고 보고 단독개최 신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도는 "지난 18일 이사회에서 공동개최 안건이 정족수 미달로 상정조차 되지 않았던 만큼 오는 28일 총회에서 단독 개최를 확정짓는 것이 최종 목표"라며 "대의원총회에서 단독 개최를 끌어내기 위해 남은 기간 동안 최선을 다 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