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ESG 금융의 규모가 지난 5년간(2019년~2023년) 213% 성장하며 지속적으로 확대돼 1880조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ESG금융 성장의 키워드는 'ESG 투자', '공적 금융', '국민연금'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 이사장 김영호)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병덕 의원은 국내 금융기관의 ESG 금융 규모를 집계∙분석한 '2023 한국 ESG 금융백서'를 발간하며 이와 같이 밝혔다.
백서에 따르면, 국내 금융기관의 ESG 금융 규모는 2023년 말 기준, 1,882.8조 원(156개 응답기관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610조 원에서 2021년 1,000조 원을 돌파, 5년간 213% 성장한 수치다. 그러나 전체 금융자산 7,129.5조 원과 비교하면 ESG금융의 비중은 4분의 1 수준에 그쳤다.
ESG금융을 유형별(투자∙대출∙채권발행∙금융상품)로 분석한 결과, 모든 유형에서 증가했으며 특히 ESG 투자와 대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ESG 투자는 795.5조 원(42.2%), ESG 대출은 761.8조 원(40.5%)으로, 두 유형이 전체 ESG 금융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이외에도 ESG 채권 발행 244.7조 원(13.0%), ESG 금융상품 80.7조 원(4.3%)으로 집계됐다.
2023년 ESG 금융의 성장은 공적 금융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 금융의 규모는 1,430.6조 원으로, 2019년도 417.5조 원 대비 5년간 242.7%가 증가했다. 이는 전체 ESG금융 규모의 76%를 차지한다.
특히 국민연금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국민연금의 책임투자 규모는 2023년 말 587.2조 원으로, 2019년도 32조 원 대비, 1,735% 급증하며 ESG 금융 규모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는 국민연금이 2019년 ‘책임투자 활성화 방안’을 의결한 이후 본격적으로 ESG 금융을 확대하고, 2022년 발표한 '책임투자 자산군 확대 지침'에 따라 해외 직접 투자 주식도 책임투자로 포함하면서 규모가 크게 늘어났다. 그러나 ESG 워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한편, 공적 부문이 ESG 금융 성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민간 금융기관의 ESG 규모도 함께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서에 따르면, 민간 부문은 2019년 대비 146.3% 증가하며 꾸준히 성장했으나, 규모는 452.2조 원에 그쳐 여전히 공적 금융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민간의 ESG금융 확대를 위해서는 제도적 보완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대목이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박남영 책임연구원은 "국내 민간 금융기관들은 ESG에 기반한 금융 목표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외부 요인에 대한 대응 부담과 함께 내부 역량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크다"며 "정부는 민간 금융기관들이 ESG 금융 규모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명확한 정책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민간 ESG금융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해 관련 정책을 더욱 확대하는 한편, ‘녹색여신 관리지침’ 등 현재 시행 중인 정책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김영호 이사장은 "최근 반-ESG 흐름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 기업과 금융기관이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ESG금융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민병덕 의원은 "기업의 ESG 경영을 지원하는 마중물로서 ESG 금융 확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