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전 의원이 최근 이재명 당대표가 추진 중인 상속세 완화 문제와 관련해 "지금 상속세를 감세하면 내수가 진작되나? 아니지 않느냐"며 "부(富)의 대물림만 강화될 뿐이다. 옳지 않다"고 비판했다.
박 전 의원은 18일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 대표의 '실용주의' 또는 '우클릭' 행보에 대해 "이걸 '우클릭'이라고 표현하면 정치하지 말자는 얘기다. 이것은 무식하거나 프레임을 씌우려고 하는 보수진영 또는 일부 언론의 잘못된 프레임"이라고 방어하면서도 "그런데 정책적인 일관성은 분명히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감세든 증세든 중요한 경제정책의 하나로 쓸 수 있고, '진보는 증세하고 보수는 감세한다'는 프레임도 틀렸지만 그 감세의 효과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 전 의원은 또 "더 나아가서 상속세 세원을 줄이면 정부가 쓸 수 있는 재정이 줄어들지 않느냐"며 "이렇게 되면 한 쪽에서는 '25만 원 나눠주자', '추경하자', '경제의 마중물이 필요하다'고 얘기를 하고, 한쪽에서는 수입을 줄이고 지출은 늘리겠다고 하면 빚만 늘어나는 것이다. 그러면 지금도 부담이지만 미래 세대에게는 더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렇게 하면 앞뒤가 안 맞는 정책으로 국민들에게 인식된다"며 "증세든 감세든 다 필요할 수 있지만, 일관성이 안 보이는 정책으로 비치면 큰일난다"고 경고했다.
박 전 의원은 이날 인터뷰에서 이 대표와 조만간 회동할 예정이라며 "(이 대표로부터) 지난 총선 이후에 처음 전화가 와서 '좀 보자', '하고싶은 얘기가 있다'고 하셔서 지금 날짜를 조율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정치인이 만남을 피할 일이 뭐가 있겠느냐"면서 "당내 경쟁이라든지 총선 국면에서 악연이 있었다. '세 번 경선, 네 번 배제' 이런 게 있기는 한데, 과거에 얽매이면 미래로 나가지 못하니까 저나 이 대표나 과거를 어떻게 잘 정리하는지가 숙제이고 그 숙제를 푸는 첫 단계가 아닐까"라고 심경을 밝혔다.
그는 회동 계기에 이 대표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고 하시니 저는 이제 주로 듣는 입장이 될 것"이라며 "제가 이 대표한테 이래라저래라 하기보다는 '민주당이 좀 달라져야 된다'는 측면에서 혹 이 대표가 하는 이야기가 있으면 그 이야기에 보태거나 혹은 제 생각을 더하거나 이렇게 하지 않을까 싶다"고만 했다.
그는 다만 "저를 둘러싼 인식이라는 게 있다. '박용진은 참 똑똑한데, 의정활동 잘하는데 왜 혼자지? 계파가 없지? 같이 일하는 사람이 없지?' 이것을 넘어서는 게 박용진의 과제"라면서 "이 대표도 이 대표를 둘러싼 게 있다. '사람은 참 실용적인데 일관성이 없지? 정체성은 뭐지?'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다"고 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또 이 대표가 '비명횡사'(공천) 과정, 그리고 당 내에서 '일극체제'로 표현되고 있는 것은 이 대표가 안고 있는 부담"이라며 "본인을 지지하는 조직은 최대한 넓혀놨지만 그로 인해서 생기는 부담을 어떻게 넘어설 것인지가 만일 조기 대선이 열린다면 국민들이 유심히 바라볼 포인트"라고 지적했다.
지난 총선 당시 이른바 '비명횡사 공천' 논란의 최대 피해자로 꼽히는 박 전 의원과의 악연 청산은 이재명 지도부가 조기 대선을 앞두고 진영 내 통합을 위해 풀어야 할 과제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낸 최재성 전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내 통합을 위한 이재명 지도부의 구체적 과제로 "당을 떠난 사람, 탈당한 분들이 돌아올 수 있게 조치해야 하고, 당 안에 있는 사람도 예를 들어서 박용진 전 의원처럼 엄청난 상처이고 아픔(을 겪은 이들을 포용해야 한다.) 작위적인 경선에서 져서 정봉주 전 의원이 (후보가) 됐는데 이런저런 문제로 사퇴하니까 다시 또 재경선하고, 그 여성 변호사도 사퇴하니까 또…(전략공천을 했다)"고 지적했다.
최 전 정무수석은 이와 함께 "당론, 정책 과정의 통합이 중요하다"면서 "예를 들어 정책도 이 대표가 금투세부터 52시간 예외 문제 등 쭉 정책을 던져 왔는데, 이게 일종의 '톱-다운' 비슷하게 되니까 다른 생각을 갖고 있는 분들이 이견이 생긴다. 톱-다운이 아닌 바텀-업 방식으로 (하는 것이) 프로세스상 통합의 과정"이라고 제안했다.
최 전 수석은 또 "이 대표도 개헌 안 할 이유가 없다"며 "국민의힘이 동기야 어떻든 (개헌) 얘기를 했으니 이걸 적극적으로 받아 안는 것이 좋다. 이 대표가 개헌에 대해 이렇게 소극적일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1등 후보가 괜히 국면 흐트러뜨리지 않으려고 그런다는 오해를 살 수 있다"며 "오히려 적극적으로 개헌을 주도하고 나가는 것이 맞다"고 했다.

전체댓글 0